[학위논문] Changes in durable consumer goods consumption in North Korea : Evidence from household appliances in urban areas
...비공식 경로와 밀수는 지속되었다. 분산된 시장 주도의 유통 시스템은 국가 주도한 계획을 뛰어넘어서, 결국 공식 경제와 비공식 경제 사이의 모호한 경계와 모순으로 이어졌다. 본 연구는 전기공급, 사회경제적 계층 차이, 발전기나 태양광 패널과 같은 자력갱생 해결책의 영향도 함께 고찰했다. 북한 도시주민들은 국가의 규제와 충돌하면서 최종적으로 ‘
부의
상징’을 획득으로 자력갱생을 통해 키운 실용주의적 접근법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북한 도시주민의 가전제품 소비에 대한 본 연구에서 사회주의 이행기 국가와 인민의 미묘한 관계가 드러난다. 양측은 실용적으로 소비를 협상 도구로 활용함으로써 국가는 정당성을 제고하는 동시에 주민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다른 한편 개인들은 적극적인 소비를 통해 계획과 시장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