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북갈등 유형분석: 북한 예술영화에 표현된 일상생활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북한주민의 사고와 행동을 다양한 방법으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북한에서 제작, 상영되는 예술영화를 바탕으로 북한사회의 갈등요인을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북한예술영화에 나타난 사회적 갈등양상의 유형분석을 통해 북한의 변화가능성을 유추해 볼 수 있다고 가정하고; 첫째, 남북한의 사회적 갈등유형을 남남갈등과 북북갈등으로 대비시켜보고 둘째, 북한예술영화에 나타난 다양한 인물의 역할이 일상생활에서 어떠한 갈등과 모순을 표출하는지 알아보고, 셋째, 영화에 표출된 다양한 갈등요인을 북북갈등의 유형으로 분류하여 북한체제의 다원주의적 변화가능성을 설명하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지 점검해보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대체로 북한영화는 체제에 대한 불만과 갈등을 우회적으로 표현하며 이를
[학술논문] 통일시대 신(新)북·북 갈등에 대한 논의와 해소방안에 대한 연구
... 본 연구는 사회주의체제에서 자유민주주의체제에로의 가치관의 이전과정에서 新북북갈등의 원인과 행태를 분석한다. 즉 탈북자들이 증가하면서 우리 사회에 하나의 사회적 매개체로 등장한 ‘탈북사회’를 母體로 적응과 부적응의 관계에서 갈등의 문제에 주목한 것이다. 북북갈등은 북한 내에 존재하는 전통적인 사회적 갈등을 의미하고 新북북갈등은 ‘탈북사회’가 자유민주주의와 접목되는 과정에 나타나는 정치·경제·문화적 갈등을 대표한다. 新북북갈등에 대한 문제제기는 탈북사회와 남한사회의 통합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의 원인과 형태에 대한분석을 통해 향후 남북통일 내지는 통합과정에서 발생·증폭될 수 있는 사회구조적 갈등을 예측하고 근본적인 정책방향을 모색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