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방 전후 북한체제에서의 강소천 아동문학 연구
...그의 문학이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이라는 대주체의 호출에 단선적으로 응답 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북한 체제의 사회주의 담론이 그에게 주체로 자리 잡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는 해방이후 북한에서도 서정성을 바탕으로 타자의 담론을 편집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는 1947년 이후 북한 체제에서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의 아동문학위원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대주체의 담론인 ‘고상한 사회주의’와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었다. 이것은 그가 1930년대 카프의 계급담론을 서정적으로 편집하여 감각적인 동시로 현실에 대응한 것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른바 북한의 ‘평화적민주건설시기’인 해방직후에 강소천의 문학적 사유를 구성하는 담론체계는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의 담론을 복제한...
[학술논문] 박홍근의 월남 동기와 월남 직후 동시의 주체 형성
박홍근은 전쟁 중 국군을 따라서 월남한 아동문학가이다. 그는 북한에 있을 때인 1946년 『새길신문』을 통해서 등단하였는데, 이 시기 북한은 ‘평양예술문화협회’와 ‘프로예맹’이 통합하여 ‘북조선예술총연맹’으로 확대(1946. 3. 25.)되었고, 곧이어 그 명칭을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으로 개칭(1946. 10. 13.~14.)하였다. 이때 북한은 이른바 ‘『응향』 사건’(1946. 12.)을 통해서 북한문학의 정체성과 방향성을 공고히 해 나갔다. 한편 아동문학에서도 ‘아동문화사 사건’(1947) 등을 통해서 사상성을 검증하였다. 이런 와중에 등단을 한 박홍근은 그의 문학관이 이런...
[학위논문] 해방기 북한 시문학 연구 : 1945~1950년을 대상으로
...과제와 더불어 기존 서울 중심의 문학론으로부터 탈피하여 독자적인 문단을 형성하려는 움직임으로 나타난다. 해방 초기 북한에서 사회주의적 이념을 지향했던 시인들은 당대 북한 사회를 그들이 염원했던 유토피아로 인식했다. 그러한 점에서 소위 민주개혁으로 이어지던 당대 사회는 시인들에게 텍스트 창작의 기본적 모티브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1946년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의 결성을 계기로 북한문학은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가게 된다. 당시 북한문학이 추구한 당성과 인민성·계급성은 결국 <북조선 로동당>의 노선과 정책을 얼마나 잘 반영하는가의 문제로 남게 되었다. 이 때 북한 문학이 강조하는 것이 바로 '과학성'이다. 이 '과학성'이라는 문맥은 인식의 문제와 현실에서의...
[학술논문] 당(黨)문학의 기원 - ‘당-국가(party-state) 체제’와 ‘응향(凝香) 사건’
...당문학의 기원에 대한 하나의 탐구이기도 하다. 북조선의 ‘당-국가 체제’에서 북조선로동당의 1946년 12월 회의와 1947년 3월 회의 및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의 1946년 12월 회의에 이어 1947년 1월 회의는 해방기 문예정책의 중요한 변곡의 지점이다. 1946년 12월에 일어난 ‘응향 사건’은 북조선식 사상개조운동 속에서 발생한 것이며, 연안계의 마오주의를 원용한 대중화론과 연계된 것이다. ‘응향 사건’에 대한 1947년 3월 북조선로동당의 최종 결정은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 결정의 결과물을 정리된 형태이며, ‘문예총’ 결정의 실행 주체는 안막일 것이다. 그런데 1947년 4월 남한의 조선문학가동맹이 만든 ‘응향...
[학술논문] 8.15해방기 북한 문예운동사 연구-북조선예술총련맹 결성(1946.3)에서 6.25전쟁 전(1950.6)까지-
...3)부터 6.25전쟁 직전(1950.6)까지 북한 초기 문예운동을 조직론 중심으로 재구성한다. 연구방법은 『정로』 『로동신문』 『민주조선』 등의 문예기사와 『문화전선』 등의 문헌 고찰과 미디어 독법이다. 제1차 북조선예술가대회(1946.3)를 통한 북조선예술총련맹 결성과 조직 개편, 제2차 북조선문학예술인대회(1946.10)를 통한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으로의 확대 개편 및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 제3차 대회(1949.2), 6.25전쟁 직전 남조선 문학예술인과의 연대 제안(1950.6)까지 정리한다. 이 시기 문예조직과 창작성과를 신문 잡지의 미디어콘텐츠 중심으로 정리하되, 문예운동사를 통시적으로 정리하고 주요 쟁점을 추출하여 공시적 분석을 기한다. 해방기 ‘미디어-문학장(media-literature field)’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