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방 직후 북한 철도시설의 실태와 복구양상 (1945~1948)
...일체의 업무를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운수부에 일임하였다. 하지만 파괴가 심했던 철도노선들과 기관차들은 정상운행하기 힘들었고 복구작업이 우선시 되어야 하는 상황이었다. 당시 북한 철도가 가진 가장 큰 문제는 협궤와 표준궤의 혼잡성이었다. 북한지역에는 남한지역보다 사철이 많이 분포하고 있었는데 사철의 경우 강삭선(鋼索線, cable car) 이나 협궤로 철로를 부설하는 경우가 많았다. 궤간에 통일성이 없었기 때문에 교통망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없었고, 이동하는 화물들이 도중에 부패하거나 도난당하는 일이 잦았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궤간을 통일하는 일은 철도복구작업과 함께 시급한 문제로 다루어졌다. 북한의 철도가 해방 이후 빠르게 정상운행 될 수 있었던 이유에는
북조선
임시
인민
위원회부터 시작된 일원화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