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현대 목판화에 관한 연구 -수인목판화를 중심으로-
...
수인
목판화를 민족
판화로 주목하며 그 민족적 독자성을 강조했다. 본 연구는 또한
북한
수인
목판화의 주요 소재를 체제선전, 전통풍속, 자연풍경의 세 가지 주제로 나누어 분석했다. 우선,
북한
수인
목판화는 여성 이미지와 자연풍경을 통한 체제선전과 인민의 정신함양을 도모하는 점에서 중국
수인
목판화와 유사한 측면이 발견된다. 특히
북한
수인
목판화와 중국
수인
목판화가 각각 조선화와 중국화의 미감을 반영하기 때문에 수묵의 농담과 담채의 처리는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다. 한편, 전통 민속놀이를 즐기는
북한 민중들의 생활상을 묘사한 작품들은
북한 당국의 민족체육 정책과 관련이 있는데, 수묵과 색조의 농담보다는 먹선으로 윤곽을 잡고 수성안료로 색을 표현한
북한 초기 배운성의
수인목판화 특징이 엿보인다.
북한의
수인
목판화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