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방된 자아에서 동원의 대상으로 - 북한 여성정책의 굴절(1945∼1950) -
여성문제는 북한이 추구한 혁명의 성격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는 테마의 하나이다. 대표적 “봉건유습”으로 인식된 여성차별의 역사 청산을 모색한 북한의 실험은 혁명이 내건 기치, 혁명의 구체적 전개과정, 혁명의 귀결 등을 생생히 보여준다. 사회혁명을 단행한 북한과 해방 전 전통사회는 여성들의 바깥활동을 둘러싸고 상반된 반응을 보였다. 여성문제 해결을 지향한 남녀평등권법령의 대중적 수용과정이 적잖은 갈등을 촉발했음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러한 갈등은 혁명이 추구한 가치와 전통사회의 가치가 충돌하는 단면을 핵심적으로 드러낸다. 북한의 여성정책이란 테마가 지닌 보다 중대한 의미는 혁명과 현실정치가 충돌하는 지점들을 포착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점이다. 곧 북한의 여성문제란 창을 통한 접근은 사회혁명이...
[학술논문] 해방된 자아에서 동원의 대상으로 : 북한 여성정책의 굴절(1945∼1950)
Issues on women reveal clearly character of revolution carried out by North Korea. Experiment of North Korea intending liquidation of discrimination of women shows vividly slogans of revolution and concrete process of revolution and consequence of revolution. North Korea carrying out social revolution and traditional Korean society before liberation took opposite view about social activities of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