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환경정책과 남・북한 환경협력 강화 방안: 그린데탕트를 위하여
본 논문은 한반도의 자연환경을 보전하고, 상대적으로 정치성이 약한 환경협력을 통해 남북한 긴장상태에 물꼬를 틀 수 있다는 인식아래 남북한 환경협력 강화를 위한 방안을 연구한다. 본 논문은 크게 3장으로 구성되는데, 먼저, 북한의 환경실태와 환경정책, 남한과의 환경협력과 국제사회와의 환경협력에 대해 살펴보면서 환경정책과 협력사업이 성과를 가져오지 못한 원인을 분석한다. 다음 장에서는 남북한 환경협력 강화를 위한 교훈을 얻기 위해 분단 당시 동서독이 행한 환경협력과 서독의 입장에 대해 논의해본다. 마지막 장에서는, 위의 분석을 토대로 남북환경협력을 강화하기위해 요구되는 남북환경협력의 기본방향과 원칙에 대해 논의한다. 환경협력을 지속하기 위해서는제도적인 틀을 갖추고 국제적 다자협력에 중점을 두며, 친환경적 경협을...
[학술논문] 그린데탕트와 남북산림협력의 의미와 가능성 연구
...남북관계 개선에 전환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정부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그린데탕트는 접경지역과 DMZ의 공동연구 및 활용, 홍수방지 사업 및 수질개선, 농업협력과 황폐산림복구사업 등이다. 이들 사업은 남북 상호발전과 환경공동체를 구성하기 위한 기반사업이라는 의미를 가지지만, 북한의 수용성과 남북 합의가능성 및 실현가능성에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중 북한 산림협력은 북한지역의 심각한 산림황폐화 현상과 북한당국의 복구의지 강화, 주민생활과의 밀접성 등을 고려할 때 수용가능성이 높으며, 과거 남북간 합의체결 및 교류협력사업의 경험 등으로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나무심기 지원부터 양묘장 건설, 산림보호, 산촌경제활성화 등 다양한 층위의 사업 중 상황에 맞는 사업을 제시할 수 있는 것도 남북산림협력과...
[학술논문] 동북아시아 월경성 미세먼지에 대한 국제협력 방안
우리나라 미세먼지 오염원 중 국외 요인은 주로 중국;몽골;북한 등의 배출원으로 알려져 있다. 미세먼지 중 국외 요인 비율이 평상시 30~50%;높은 농도 시 60~80%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미세먼지 문제 해결 방안으로 피해 배상 및 보상을 위한 국제소송이 있으나 쉽지 않다. 따라서 이미 체결된 대기질 관련 국제협약의 체결과정과 대기오염 배출량 저감 국제협력사례를 고찰하여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연구는 중국의 대기질 정책과 계획・프로그램을 먼저 고찰한 후;중국과 한국의 주요 도시의 미세먼지 농도를 비교한 후 월경성 대기오염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협력사례와 월경성 환경영향평가 현황을 분석한다. 중국발 미세먼지의 장거리 이동과 피해에 대해 배상이나 보상 차원의 방안이 아니라;과학적 규명과 협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