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가정 아동들의 한국사회 초기 적응 태도에 대한 연구 -정치사회화 관점을 중심으로-
60년 이상 다른 정치체계를 유지해 온 한국과 북한은 민족적 동질성마저 미약해지고 있다. 이 상황에서 북한이탈가정 아동들의 증가와 그들의 한국사회 적응은 남북통일과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북한이탈가정 아동들의 한국사회 초기 적응 태도를 정치사회화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으로 수행하였다. 2012년 9월부터 2013년 9월까지 13개월간 S초등학교 북한이탈가정 초등학생 116명을 직접 관찰하였고, 교직원 7명과 반 구조화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북한이탈가정 아동들은 권위에 의존하려는 타율적 태도를 보였다. 교사를 권위의 대상으로 생각하며 의존적인 태도를 보였고, 개인 중심의 생활에 부담을 느끼며 불안해하였다...
[학술논문] 아동인권의 이슈에 관한 트랜드 분석
... 종사하는 관련 전문직에 대한 인권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우리사회의 교사, 상담가, 의사, 사회복지사, 청소년지도사, 관련 법률가 등 아동・청소년의 권리 실현을 위한 의무이행자로서의 관련 전문직에 대한 인권교육이 매우 필요하며, 특히 아동과 관련한 다양한전문직의 대학교과과정이나 커리큘럼에의 인권교육의 포함을 고려할 수 있다. 다섯째, 특히 취약집단 아동(가족과 분리된 아동, 망명요청아동, 원주민 아동 등)이 차별받지 않도록 매우 강조되었다. 우리사회 역시 다문화가정을 포함하여 북한이탈 가정, 그리고 난민 등 무국적 가정의 아동청소년들에 대한 관심이 더욱 필요하다. 이들에 대한 인권보호와 인권증진을 위한 내용이 법제화될 필요가 있다
[학술논문] 북한이탈가정 아동의 분리경험과 애착양상
Objective: Taking note of the fact that North Korean refugee children experience frequent separation from their mothers and long-term maternal deprivation during their childhood,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eparation experiences and attachment.
Methods: A total of 37 children aged from 5 to 9 were assessed on their attachment using the Separation Anxiety
[학위논문] 북한이탈가정 아동의 심리적 적응증진을 위한 어머니-아동 상호작용 프로그램 개발
.../>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북한이탈가정 아동의 심리적 적응증진 프로그램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아동의 자아 및 환경에 대한 지각과 어머니-아동 상호작용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북한을 이탈하여 급격한 상황변화에 따른 심리적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아동을 위한 심리적 적응증진 프로그램의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북한이탈가정 아동의 심리적 적응을 돕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아버지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형제자매를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는 후속연구와 북한이탈가정 아동의 다양한 배경에 따른 세분화된 프로그램의...
[학위논문] 북한이탈가정 초등학생의 한국사회 초기 사회화 과정 연구 : 정치사회화 관점을 중심으로
...상황에서 북한이탈가정 아동들의 증가와 그들의 한국사회 적응은 남북통일과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북한이탈가정 초등학생들의 한국사회 초기 사회화 과정을 정치사회화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기간은 2012년 9월부터 2013년 9월까지 13개월간이었고, 대상은 통일부 지정 북한이탈가정 위탁교육 기관인 경기도 A시 소재 S초등학교 북한이탈가정 초등학생 116명이었다. 방법은 관찰과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로 연구 대상 아동들을 직접 관찰하였고 경영자 1명, 교사 2명, 코디네이터 2명, 그리고 하나원과 H학교 코디네이터 각 1명 등 총 7명을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북한이탈가정 초등학생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