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연구방법론의 쟁점과 과제
...냉전이 진행되면서 북한은 연구의 대상이라기보다 적대와 타도의 대상이었다. 1970년대 초 미·중 데탕트와 1972년 7·4 남북공동성명 채택을 계기로 북한연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1980년대 말 북한에 대한 ‘내재적 연구방법’이 소개되면서 북한연구의 새로운 흐름이 형성되기도 했다. 사회주의권 붕괴 이후 북한연구에서 내재적 접근, 일상생활연구방법, 행위자-네트워크이론 등을 적용하면서 양적·질적으로 비약적인 발전이 이루지고 있다. 지금의 북한연구는 어떤 특정한 연구방법이나 흐름으로 정리하기 쉽지 않을 정도로 다원화되었다. 이 글에서는 북한연구의 흐름과
쟁점을 주요 세대별로 개관해 보고 주로 북한정치 분야 연구동향과 논쟁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