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러일전쟁 시기 함경도 전투의 전개과정
The Russo-Japanese War was the global war which took place for the first time in the twentieth century.The war covered the entire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r,and north and north eastern regions of China and was the Imperial War that began and ended in the Korean Peninsula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make an in-depth study on the Hamgyeongdo Battle focusing on the concept of the military
[학술논문] 탈냉전 시기 북한의 의존 네트워크 분석
이 글은 탈냉전의 공간에서 생존을 위해 북한이 만들어내는 의존 네트워크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ʻ고난의 행군ʼ을 거치면서 보다 구체화된 의존 네트워크는 전지구적으로 국제기구,비정부기구, 국가 군을 망라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평양의 의존망은 북한 국가의 성격을 폐쇄형에서 반(半)개방형으로 전환시키고 있다. 이러한 성격 전환은 북한의 지대추구(rent-seeking) 행위에서 잘 드러나는 바 이를 통해서 평양은 나름대로 외부세계와 소통하고있다. 이 글은 전면적 개혁개방 실천 이전의 단계에서 평양의 지대추구가 다소 긍정적인 의미를 지닌다고 파악하고 있다. 외부세계와 비교적 거리를 두고 있는 북한이 조기에 개혁과개방의 방향으로 나아가리라고 예측하기는 쉽지 않다. 북한은 한동안 혁신과 기업가 정신에의존한 경제발전보다는...
[학술논문] 북한의 외국법 연구
해방 후 1950년대까지는 소련법이 북한법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나, 이후 소련법의 영향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1980년대부터 북한법에 대한 중국법의 영향이 증가하기는 하였으나 과거 소련법의 영향력에 비하면 제한적인 수준에 머물러있으며, 다른 국가의 법도 북한법에 영향을 미친 것이 확인되었다. 북한의 외국법 연구경향도 대체로 이러한 궤적을 따라 변화해왔다. 1950년대까지는 소련법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으나, 1960년대부터 소련법에 대한 언급이 크게 감소하였다. 북한의 법학논문을 분석해보면 특히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 법학자들이 중국 등 사회주의국가의 법보다 독일, 프랑스, 영국 등 서구 국가들의 법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연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북한의 법학자들은 주로 중국 대학 방문조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