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고전문학 교육 내용 연구-교과서 수록 작품의 선정 배경과 맥락을 중심으로
... 일본, 베트남, 북한을 대상으로 고전문학 교육의 현황과 그 의미를 탐색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기획되었다. 특히 북한 고전문학의 경우 분단 이전에 생성, 향유의 일정 부분을 공유했다는 사실에서, 우리와 높은 친연성을 기대할 수 있다. 동시에 이같은 구조적 상동성에도 불구하고 교육적 인식과 태도에 따라 교육의 내용과 실천태에 큰 변화가 존재하는 만큼, 북한 고전문학의 특질을 탐색하고 인식의 차이를 밝히는 것도 요청된다. 따라서 교수요강, 교과서, 문학사 연구물, 사회주의 교육학 등의 자료를 통해 북한 고전문학 교육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피는 것을 이 연구의 과제로 한다. 북한의 경우 문학이 사상 교양의 수단과 도구 차원에서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문학의 강조와는 달리 고전문학은 북한 체제가 요구하는 사회주의...
[학술논문] 통일 이후 고전문학 교육과정 개발 방향
This thesis focused on the curriculum development directions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after reunification south and north. The first stage of the survey made a comparison between the south and north curriculum and textbook. In North Korea, classical literatures are selected through significance in history of literature and taught to understand, appreciate, and recite. The problem of
[학술논문] 통일한국에 대한 문학교육의 대응
...다문화 사회라는 전제하에 상호문화주의에 기반한 상호문화 교육정책을 수용하고자 한다. 현재 국가적 차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다문화 정책 자체가 한계성을 노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또 하나의 방향은 휴머니즘이다. ‘인간다움’의 존중과 ‘참인간다움’ 찾기를 휴머니즘의 본질로 이해한다면, 이는 통일 이후 한반도에서 발생할 복잡 다양한 혼란과 무질서를 수습, 정리할 수 있는 사상적 기반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통일한국 시대의 문학교육의 실천 덕목은 통일문학사 정립, 문학교과서의 제재 선정을 고려할 수 있다. 특히 제재 선정은 고전문학과 세계문학에 대한 수용을 염두에 둘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통일 이후 문학교육의 모형으로 재중조선족 학자들의 학문적 내용을 존중할 필요가...
[학술논문] 북한 교과서 ‘고전시가 해석’의 한 양상
...현재와 미래의 ‘혁명적 인간’으로 만들고자 하는 것이 북한 고전문학 교육의 목적이다. 북한의 교과서에 반영된 고전문학 작품들의 해석양상을 살펴보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었다. 맑스-레닌주의에 입각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미학을 유지하다가 주체미학으로 전환되어 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곳이 북한이다. 김일성에서 김정일로 내려오며 성립되었고, 그들의 이름으로 이론체계가 공표되어 모든 공적ㆍ사적 행위를 규율하는 이념이 주체사상이다. 자연스럽게 문학창작이나 해석 또한 김일성의 교시와 김정일의 지적을 최고의 강령으로 삼아 이루어지게 되고, 고전문학의 해석에서 이들 강령은 더더욱 강한 구속력을 갖게 되었다. 학생들을 위한 고전문학 작품들 역시 주체미학의 엄격한 범주 안에서 선택되어야 하고, 사회과학원이나...
[학술논문] 동질성과 이질성의 길항과 통일 문학교육의 도정 -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통해 본 통일 문학교육의 방향과 과제 -
..., 교과서에 수록된 제재와 학습활동의 측면에서 현대문학, 고전문학과 세계문학 교육이 동질성과 이질성을 동시에 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남북한 문학교육간의 공통된 요소 못지않게 상당한 차이와 간극을 확인하였다면, 기존의 민족주의에서 상호문화주의로 교육적 시각을 전환할 것이 요청된다. 이러한 전환을 바탕으로 민족적 동질성과 문화적 이질성의 실체를 동시에 인정하고 이들의 길항 속에서 새로운 통일 문학교육의 개발이 필요하며, 변혁적 접근법은 이러한 설계와 개발의 구체적인 방법론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