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부동산사용료제도와 시사점
... 실사를 의무화하는 동시에 부동산 사용료의 국가 납부를 규정하고 있다. 부동산관리법 제정은 만성적인 재정난에 허덕이는 북한이 부동산 사용료를 적극 징수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북한 내 ‘시장 무질서’ 단속 및 기업․공장의 생산성 강화를 통해 계획통제경제 체제를 확고히 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본 논문은 북한 부동산 운영 및 부동산사용료 부과실태를 살펴보고, 부동산정책 변화 및 이에 따른 「부동산관리법」의 제정배경과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남한의 재산세와 유사한 부동산사용료제도가 도입됨으로 인해 향후 통일 이후 북한 부동산의 처리 문제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학술논문] 북한살림집법을 통해 본 북한부동산시장의 변화와 통일시 시사점
..., 부동산가격의 산정과 이에 따른 부동산사용료 징수를 통한 국가재정수입에 초점을 맞추어 정책을 바꾼 것으로 보인다. 둘째, 북한의 국가배급시스템의 붕괴와 살림집의 음성적 거래로부터 촉발된 부동산건설시장 활성화와의 관련성이다. 북한의 국가배급시스템 붕괴는 1994. 7. 김일성의 사망 이후 식량의 수매와 수송 및 배급체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으면서 부터이다. 후계자들이 배급시스템의 혼란을 통제하지 못하면서 북한당국의 경제적 통치기능이 시장원리를 수용할 수밖에 없음을 알 수 있다. 북한당국으로부터 식량이나 생필품을 공급받을 수 없는 주민들은 농민시장을 통하여 이를 조달할 수밖에 없었고 시장은 더욱 확대되었다. 북한당국은 농민시장에 대한 통제를 시도하였지만, 생필품 등의 공급체계를 정상화시킬 수 없게 되자, 농민시장을...
[학위논문] 북한 세금관련 법제의 시기별 변화에 관한 연구
...산업도매가격으로 변경하고 거래수입금의 부과단위를 기존 소비재 생산기업소에서 생산수단 생산기업소까지 확대하는 변화가 있었다. 이후 2002년 7.1 조치와 함께 거래수입금의 폐지 및 국가기업리득금 체계로의 전환 가격현실화 및 한도가격 제도 도입 이윤 기준에서 소득 기준으로 분배기준 변경 계획외 수입을 포함하는 번수입 지표 적용 개인수입금 및 토지사용료(부동산사용료) 부과 그리고 2005년 ?국가예산수입법? 제정 등 개혁적인 제도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제도 변화는 국정가격과 계획에 기반한 고전적인 사회주의 예산수입체계에서 ?시장 기반 사회주의 예산수입체계?로의 변화가 시작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국가기업리득금 체계로 전환한 상태에서 생산수단 도매가격 형식 분배기준 과세요건 항목 등 예산수입제도의 세부구성(조합)을...
#최정욱 #북한 #세금관련 법제 #예산수입법제 #국가예산수입법 #과세요건 #세금제도 폐지 #세제개혁 #사회주의 예산수입체계 #시장 기반 사회주의 예산수입체계 #시장경제형 조세제도 #North Korea #tax-related legal system #legal system of budget revenue #Law on National Budget Revenue #tax requisites #abolition of tax system #tax reform #socialist budget revenue system #market-based socialist budget revenue system #market-based tax system
[학술논문] 김정은 시대 북한 부동산시장의 정책변화 연구
북한경제는 1990년대 이후 더이상 중앙집권적・계획적 관리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북한의 시장화 현상이 계속되고 있고;경제에서 차지하는 부동산의 가치비중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김정은 집권시기에 부동산시장이 북한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의 변화를 검증함으로써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동산시장을 경제적 측면에서의 비중과 제도변화의 의미와 역할을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당국이 인식하는 부동산시장의 경제적 측면에서의 중요성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향후 북한의 도시화율;이에 따른 가치상승;예산수입 계획에서 부동산사용료의 증가 가능성은 중요하게 지켜봐야 할 부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법・제도적 측면과 경제적 측면에서 북한경제에서 차지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