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년로자보호법」의 의의와 한계 - 타 법령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얼개가 나타나있다. 셋째, 동 법령은 수직적으로 「헌법」, 「사회보장법」의 아래에 위치하는 법령으로 북한의 사회복지법제에 있어 법적체계를 구성하는 데 일조한다. 넷째, 동 법령은 「장애자보호법」과 더불어 북한이 사회적 약자인 요보호자의 대상별 서비스와 권리를 명시한 대표적인 법령이다. 다섯째, 동 법령보다 먼저 제정한 「장애자보호법」과 비교적 법적인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다. 여섯째, 법적인 내용에 있어 동 법령은 「아동권리보장법」과 「녀성권리보장법」과 뚜렷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는다.
[학술논문] 북한 사회보장법 법적 분석: 기존 사회복지 관련 법령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목적은 북한의 「사회보장법」을 기존의 관련 법령들과 비교, 그 특성을 분석·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동 법령의 정체성을 의의, 위치, 역할, 기능, 한계 등을 통해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동 법령의 적용 대상, 급여, 재정 부담, 전달 체계, 관리·운영을 중심으로 기타 법령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토대로 동 법령의 법제적 함의를 의의와 평가, 지속성과 변화를 통해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 북한의 「사회보장법」에 대한 의의와 평가를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 법령은 북한이 직접적으로 사회보장에 대해 최초로 공표한 법령으로서 지대한 의의가 있다. 둘째, 동 법령은 사회보장사업에 대해 북한이 국가 차원의 함의를 밝힌 것으로 북한의 사회보장사업에...
[학술논문] 북한 사회복지의 법제적 고찰 - 체제·범위·개입 -
In South Korea, there has not been much research o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in North Korea yet. But we can even say that unified Korea can be completed with the integration of social welfare as it is such an important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just to analyze social welfare systems in South and North Korea comparatively but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welfare in North
[학술논문] 2000년 이후 북한 사회복지법제 동향
... 법적 분화가 시작되었고 이로 인해 개별 독립화된 법령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이는기존과 다른 행태이고 이는 결국 북한 사회복지의 법제적 ‘현대화’를 의미하고 있어 큰 의의가 있다. 북한 사회복지법제의 양적이고 질적인 발전을 일으켰고 종국에는 과거보다 한 차원 높은 법적체계를 형성하였다. 이 때문에 북한의 이러한 행태가 지속되는 한 적어도 제도적 측면에서 발전은 일정 부문 지속되리라는전망이 가능하다. 따라서 북한 사회복지법제 전체를 놓고 볼 때, 북한의2000년 이후 입법 동향은 상당부문 의미하는 바가 크고 이는 결국 북한사회복지법제 동학의 과거와 현재를 구분하는 판단기준이 된다.
[학술논문] 북한의 「사회보험 및 사회보장법」에 대한 분석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의 「사회보험 및 사회보장법」의 법적 정체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 서술순서는 먼저 ① 입법 배경, ② 법적 의의, ③ 사회복지법제 위계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구조와 행위 차원에서 법적 구성과 행태에 접근하였다. 그다음으로 법령의 내용을 중심으로 ① 적용대상, ② 급여종류와 조건, ③ 재정, ④ 서비스 전달과 관리운영체계를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보험 및 사회보장법」의 함의와 쟁점, 평가를 하였다. 본 연구방법은 북한의 원전인 각종 법령의 조문을 중심으로 질적연구방법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동 법령은 사회보험과 사회보장이 통합된 형태의 법령으로 제정되었다. 둘째, 북한이 기존의 복지운영체제에 대한 고민과 해결책을 포괄한 법령이다. 셋째, 이로 인해 기존의 사회보험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