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북한 산림경관 생태적 복원모형 개발
...확인하였다. 평균 군집방법으로 한반도를 15개의
생태
지역으로 분류하였다. 15개
생태지역 간 차별성은 ANOVA test로 확인하였다. 지역 간 유사성은 등분산을 가정하지 않는 post hoc pair wise comparison으로 비교하였다. 남한의
생태
지역에 서식하는 자연식생을 확인하여
북한의
생태지역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지역분류에 관한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생태
지역의 타당성을 설명하였다.
생태
지역은 지역의 독특성을 담도록 명명되었다. 둘째, 1989년에서 2008까지 산림변화 통계량을 분석하여 공간적
잠재
복원
대상지를 탐지하였다. 이 기간 동안
북한 산림황폐지 변화 양상은 Morans' I지수로 확인하였다.
북한의
잠재
복원
대상지와
생태
지역을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으로 산림이 황폐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