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정은 시대 북한 시의 이미지 양상
...보인다. 젊음과 열정의 이미지는 김정은에게 청년 김일성이미지의 전유로 나타난다. 이는 전대 지도자와의 동일시를 통해 체제전환의 불안을 은폐하고 안정적이면서 공적인 승인을 이끌고자 한 이미지 전략이다. 젊음의 이미지가 호명하는 청춘세대는 천리마기수, 3대혁명소조와 같은 영웅적 형식의 오마주이지만 과학, 기술, 지식 담론의 핵심이라는 점에서 변별된다. 그러나 북한의 실제 현실이 아니라 낙관적이고 이상적인 형상을 그린다는 점에서 여전히 북한 문학의 구조적 한계를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일련의 이미지들은 공동체의 언어 습관과 해석에 영향을 끼치고 체제 지향적 이데올로기를 재생산하는 선전 장으로 기능한다. 또한 3대 후계세습에 대한 인민의 정서적 동의를 견인하고, 새로운 신화 만들기와 중첩되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학술논문] 재북 시기 조운 시조의 한 양상
Choun is representative writer of Yeonggwang regional literature. He was almost the only sijo poet in North Korea from 1949 when he defected to early 1960s. This study aims to find and to introduce last 6 works published in North Korea by Choun. Technique of expression is a common point of these 6 work. In conventional lyric poetry, author tells his own experiences but Choun’s 6 works are somewhat
[학술논문] 월북시인 박산운 시 연구 - 시집 『내가 사는 나라』를 중심으로
...둘러싼 전위시인‧월북시인‧북한시인의 키워드를 풀어 시세계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북한 시문학의 흐름 속에서 박산운이 어떻게 흡수되고 개성을 지켜나갔는지를 알 수 있었다. 첫째, ‘전위시인’은 해방기 신진시인의 탈식민주의적 기질로, 남의 나라가 되어 버린 조국 현실에서 새 나라 건설을 위한 박산운의 열망과 관계된다. 둘째, ‘월북시인’은 새 나라 건설의 열망으로 38선을 넘은 박산운의 능동적인 행위로부터 기인한다. 박산운에게 월북 행위는 ‘내가 가야할 길’로, 해방기 유이민의 ‘귀국’과 마찬가지로 새로운 고향을 찾아 떠난 ‘귀향’의 의미를 지닌다. 셋째, ‘북한시인’은 추방과...
[학술논문] 1990년대 중국조선족 시문학 비평의 쟁점들 - 『문학과 예술』, 『장백산』을 중심으로
본 논의는 변화와 개혁의 시기였던 1990년대 중국조선족 비평의 쟁점들을 시문학비평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의 사회적 변화는 조선족문학이기존의 문예 이론이나 문학적 경향에서 탈피하여 새로움을 추구하는 동시에 존립의방향과 정체성을 재점검하는 계기가 되었다. 본고는 『문학과 예술』, 『장백산』에 실린비평들을 통해 이 시기 조선족문학의 상황과 시대적 문제의식 그리고 그들이 모색한방향성은 무엇이었는지에 주목해보았다. 사회 문화적 개방화의 물결 속에서 조선족 비평가들은 비평의 위기와 극복 방안에대해 논의를 진행했다. 사회주의 리얼리즘적 창작 방법을 추구했던 기존의 작품들과달리 변화하는 현실과 그것을 반영한 작품들을 보면서 평단은 비평의 역량을 강화하기위해 무엇보다 지식과 이론의 수용이 필요하다는...
[학술논문] 북한 『아동문학』에 수록된 ‘가사’ 연구
‘노랫말’인 가사는 북한문학에서는 서정시의 범주 안에 포함되고 있다. 대중이 함께 부르는 노랫말인 가사가 시문학의 한 장르로 포함되고 있는 것은 북한만의 특수한 현상이다. 북한에서의 ‘가사’는 단순한 가요음악의 종속물이 아니라 곡이 없어도 하나의 시가 될 수 있을 정도로 사상적ㆍ예술적 완성도를 지향한다. 아동문학 장르에서도 어린이를 위한 노랫말이라고 할 수 있는 ‘동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사’는 별도로 창작되어 『아동문학』을 통해 꾸준히 발표되고 있었다. 두 장르의 공존현상은 가능한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창작을 권장하는 당 차원의 요구로 해석할 수도 있으나 항일혁명문예의 전통을 가지고 있는 가요의 정통성을 지키기 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