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중학교 『국어』의 시 교육 내용과 작품에 대한 고찰
This paper is a research on the contents and poems in ‘Korean’ textbooks of North Korea middle school, and desirable direction of poetry education for South-North coexistence. In 2012 Chief Kim Jong Un has advocated new educational reform policy that included expanding compulsory education and enhancing technical training a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one sense, we can read that they
[학술논문] 탈북학생 대상 중학교 국어 교과서 개발 방안
...대비 국어교육을 준비하는 일환으로 탈북학생용 국어 교과서 개발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탈북학생용 국어 교과서 개발 작업을 위해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은 분단 70년간 서로 달라진 남한과 북한의 언어 이질화 양상 및 학습자 대상인 탈북학생에 대한 이해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분단 이후 달라진 남한의 표준어와 북한의 문화어의 차이와 남한과 북한의 국어교육이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를 목표와 내용, 방법 면에서 검토하였다. 아울러 탈북학생의 국어과 학업 성취 특성과 탈북학생 및 지도 교사를 대상으로 한 FGI를 통해 앞선 연구들을 통해 확인된 탈북학생의 국어과 학업 성취 특성을 보완하고 보다 현실적인 교과서 개발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고에서는 통일 대비 탈북학생용 국어 교과서는...
[학술논문] 북한 국어 교과서의 언어적 특징에 대한 코퍼스 기반 분석 - ‘경애하는’을 중심으로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in North Korean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arts(KLA) textbooks and to explore their educational meaning. I acquired North Korean KLA textbooks from the Information Center on North Korea, converted it to text corpus(hwp file) using Hangul program, and converted it to text file on computer. As a result of analysis of ’North
[학위논문] 북한 고등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어휘 연구
As the period of national division lasts, differences in languages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re found mainly in vocabulary. First and foremost, North Korea focuses on an instrumental function of its language as a powerful weapon to construct socialism. According to such differences in recognition, South Korea created new words based on the vocabulary that comply with tradition and convention
[학위논문] 북한 문학 교육 연구 : 『국어문학』과 『문학』 교과서 비교 고찰
...연구의 목적은 북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학 교육의 실상을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1984년 개편된 고등중학교 4~6학년 『국어문학』 교과서의 ‘문학’ 영역과 1997년 개편된 중학교 4~6학년 『문학』 교과서를 비교하여, 북한의 문학 교과서 개편 과정에서 나타나는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Ⅱ장에서는 북한에서 해방이후 국어 교육이 어떠한 변화를 겪어왔고, 또 어떤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 교육과정의 변화를 중심으로 사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Ⅲ장에서는 북한 문학 교육의 이론적 배경이라 할 수 있는 주체문예이론과 북한 문학 교육의 성격과 내용을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북한의 『국어문학』 교과서와 『문학』 교과서를 ‘김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