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화법교육의 연구 현황과 전망
Our discussion about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henceforth abbreviated as SCE) has been ongoing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communication theory. Heated debates are frequently observed due to the development of civil democracy and the spread of mass media such as radio, TV and movies. Research may start with microanalysis and ends with macroanalysis, or vice versa. The definition of SCE became
[학술논문] 북한의 대학 글쓰기 교육의 특징과 통일 글쓰기 수업을 위한 제안
...통일 글쓰기의 첫단계는 분단 이전에 공유했고, 분단 후에도 양 체제가 공히 출판하여 학생들에게 읽히는 고전 작품을 텍스트로 삼아 ‘서평’과 같은 양식의 글쓰기에서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전 서평은 남북을 초월하여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한 통일 서사 구축을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두 단계에 걸쳐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처음은 지식 층위에서, 작품 내용의 특징에 대한 묘사적 분석적 글쓰기를 진행한다. 다음은 지혜 층위에서, 작품에 담긴 우리 민족의 전통적 가치와 의미를 도출하는 추론적 글쓰기를 훈련하는 것이다. 이러한 글쓰기 설계는 분단 이전에 남북이 공유했던 기억을 회복하고 향후 화합을 이룰 수 있는 소통의 글쓰기를 실천하는 데 기여할 바가 클 것이다.
[학술논문] 한반도 통일과 인권의 층위
...통합적으로 보는 시각에서 인권의 층위 개념을 살펴보는 데 있다. 우선 인권의 층위는 한반도 인권, 북한인권, 남한 인권, 코리언 디아스포라 인권 등 분단체제를 중심으로 상호 연관관계를 형성하는 인권범주들을 지칭한다. 한반도 인권 범주는 분단체제의 구조적 인권유린이 남북 모두에 작동하고 있기때문에 성립가능하다. 또한 분단체제가 가하는 구조적 인권침해를 고려하더라도 남북의 고유한 체제에서 비롯되는 인권침해의 차별적 양상이 있는한, 남한인권, 북한인권이란 범주도 분석적 설명력을 지닌다. 나아가 한반도와의 역사적, 문화적 연대의식이 강하고, 통일한반도를 지향하는 코리언디아스포라의 정체성을 염두에 둔다면, 코리언 디아스포라 인권을 별도 범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인권의 층위는 상호보완적인 인권의 개인적 차원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