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정은의 이미지 관리 전략: 『노동신문』 '1호 사진'을 중심으로
...치부해버리는 경향이 있지만 북한은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방법으로 최고지도자의 이미지를 관리하고 있다. 김정은 사진은 김정은의 실질적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동시에 그것은 가치가 개입된 정치적 과정으로서 자신의 이미지에 대한 김정은 스스로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다. 2012년 1월 1일부터 2013년 5월 31일까지 북한『노동신문』에 게재된 김정은 사진 전체에 대한 내용 분석을 하였다. 변수로는 주제, 빈도, 표정, 시선, 쇼트(shot)의 크기, 출처를 살펴보았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노동신문』에 게재되는 사진을 전 세계로 전송하는데 이렇게 수신한 고해상도의 사진도 추가적으로 활용하였다. 김정은은 할아버지 김일성의 외모를 차용한 이미지 연출을 하는 데 그치지 않고 북한의 매스미디어에 대한 독점권을 적극 활용해...
[학술논문] 이미지에 드러난 북한체제의 정치커뮤니케이션: 1950~60년대 포스터를 중심으로
...북한인민의 생활미시사를 추적, 분석한다. 북한 현대사를 관통하는 정치적 사건과 경제적 주제들이 포스터에 어떻게 녹아들었으며 이것이 북한주민의 일상사에 주입됐는지를 실증적으로 검토하는 작업이다. 그 시기 포스터에 투영된 북한체제의 특징을 시각적으로 포착, 그것이 포스터에 어떻게 표현됐으며 인민들에게 전달됐는지를 사회주의적 사실주의(Socialist realism)의 기준에 대비하여 살핀다. 이는 북한 포스터가 갖고 있는 비주얼상 특징이 북한체제 전반의 과제를 담아냈는지를 인민의 생활 재발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1950~60년이라는 격동의 시기에 제작된 북한 포스터가 담고 있는 메시지와 특징이 당시 북한체제가 인민에 전하고자 하는 정치사회적 맥락이 어떻게 시각적으로 표현됐는지를 규명한다.
[학술논문] 비주얼 리터러시 관점에 따른 교과서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변화 연구 - 한국 도덕교과서의 사례를 중심으로 -
사회와 매체의 환경이 변화하고 시각적 이미지의 비판적 해석과 수용은 곧 창의적인 생산능력이라는 비주얼 리터러시의 관점으로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돈디스가 제시한 시각정보 단계에 따른 비주얼 리터러시 전달요소는 의미를 담기위한 상징, 정보의 기능을 수행하는 재현적 매체, 가장 중요한 시각적 기능을 수행하는 하부구조의 3 가지 개별적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기능에 대한 유형들을 형상, 크기, 색채, 동세, 젠더, 공간 6 가지 요소로 분류하였다. 1990 년대를 전후로 2 차와 7 차의 도덕교과서 일러스트레이션을 선정하여 국가, 사회, 개인 유형별로 비주얼리터러시가 어떻게 표현적, 상징적 기능을 하였는지 분석하였다. 첫 번째, 시각 상징으로 2 차는 국민과 권력자, 자유와 억압, 부모와 자녀의 윤리적...
[학술논문] Portrayal of two Koreas in Chongryon Korean language textbook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rtrayals of two Koreas in Chongryon Korean language textbooks using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nd visual image analysis. The findings show that the textbooks portray North Korea (its political ideologies such as the pre-eminence of Kim Il Sung and his glorious anti-Japanese guerrilla activities, need to visit his birth place) predominantly in quantity and in quality...
[학위논문] 국가상징으로서의 삼태극 문양 연구
...visual art, and Samtaegeuk was the most prominent pattern used among them. Samtaegeuk that is reflected on the idea of Trichotomy and North Eastern Asian Shamanism is still widely used to represent Korea in both international and national events. The beauty of Samtaegeuk is the combination of mutual impact, circulation, network and hierarchical differentiation, the four characteristics of visual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