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한령(限韓令) ’을 통해 본 중국 대외문화정책의 딜레마
... 효과적인 정책 수단이 되지 못했다. 공식적 혹은 비공식적 루트를 통해서 한류콘텐츠는 지속적으로 중국 내에서 유통되었고, 중국인들의 한류콘텐츠에 대한 관심 역시 ‘
한한령’ 이전과 이후의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
안보의 경제적 측면에서도 관련 한국 기업의 손실은 불가피하지만 콘텐츠산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그리 크다고 할 수는 없다. 한편 중국
대외문화정책 기조의 또 다른 한 축인
소프트파워, 특히 중국의 국가이미지 개선의 차원에서 보자면 ‘
한한령’은 최악의 결과를 초래했다. 한국 국민들의 중국에 대한 호감도는 오랫동안 북한을 제외하고 호감도 최하위를 기록했던 일본보다 낮아졌고, 절대다수의 한국인들이 한중 관계가 나쁘다고 인식했다. 더구나 미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