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오오가키 다케오(大垣丈夫)의 자조론 연구
본 논문은 오오가키 다케오의 자조론을 검토하여, 과연 이는 한국 근대 자조론의 형성에 어떠한가교 역할을 하였는지를 정치사상사적 관점에서 살펴본 것이다. 즉 그의 자조론은 인종주의적 사회진화론과 결합하여 한국독립가능론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으며, 그가 「자강」ㆍ「독립」 운동에 참여한것은 조국인 일본을 위한 함정 파기였다는 기존의 부정적 평가를 극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연구는 자조론을 수용한 지식인들이 주권을 상실한 이후, 어떻게 자주 독립의 이론적 기반이었던자조론을 세속적 입신출세 지향인 성공주의로 전환해 갔나에 대한 정치사상사적 연구의 선행 연구로서도 의의를 가진다 하겠다. 나아가 다음 주제의 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파급효과도 가져 올 수있다. 즉 ‘동아시아 삼국에서의 자조론의 역사적 수용과 수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