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함흥의과대학 교수진의 구성, 1946-48: 사상성과 전문성의 불안한 공존
This paper aims to reveal how Hamheung Medical College in North Korea kept up its faculty with the trend of a new political system. The time period consists of three series of evaluations that occurred between the start of a reformation action in 1946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regime in 1948. At the time, it was difficult to secure college faculty in the medical field, because of a serious shortage
[학술논문] 북한 선군음악정치의 지향
...2013년에 해체된 은하수관현악단에 구현된 북한 선군음악정치의 양상을 검토한 글이다. 은하수관현악단은 여러 면에서 북한 음악단체의 모범을 마련하고 구현한 연주단체였다. 즉, 은하수관현악단은 수많은 선군시대의 가요들을 전면 배합관현악 편성으로 연주함으로써 민족성과 주체성, 그리고 강성대국건설에 대한 희망을 안겨주는 연주회를 진행하였다. 또한 악기 편성을 전면 배합관현악 편성으로 배치하여 민족적인 미감과 조선민족제일주의를 표방하는 연주를 하였다는 점 역시 여타의 단체와는 구별된다. 또한 새로운 편곡에 의한 ‘가요연곡’이나 새로운 음악편성을 만들어 내었을 뿐만 아니라 매 연주회마다 주제를 제시함으로써 연주회의 사상성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김정일이 주장해왔던 인민성을 구현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학술논문] 박홍근의 월남 동기와 월남 직후 동시의 주체 형성
...3. 25.)되었고, 곧이어 그 명칭을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으로 개칭(1946. 10. 13.~14.)하였다. 이때 북한은 이른바 ‘『응향』 사건’(1946. 12.)을 통해서 북한문학의 정체성과 방향성을 공고히 해 나갔다. 한편 아동문학에서도 ‘아동문화사 사건’(1947) 등을 통해서 사상성을 검증하였다. 이런 와중에 등단을 한 박홍근은 그의 문학관이 이런 일련의 사태를 부정하든 긍정하든 영향 관계에 놓일 수밖에 없었다. 이 글은 여기서 출발하여 박홍근의 월남 계기와 그것이 작품에 끼친 영향 등을 살펴서 그의 문학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실향(탈향)민의 입장에서 고향에 대한 정서가 어떻게 문학적으로 변용, 형상화되었는지를 살펴서 그의...
[학술논문] 셰익스피어 비극에 대한 북한의 인식
...셰익스피어에 대한 높은 평가는 변함이 없다. 주로 봉건적 왕이나 귀족들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셰익스피어의 비극과 사람이 운명의 주인이고 ‘인민대중’이 혁명과 건설의 주인으로 나서야 한다는 북한의 지도이념은 서로 양립불가능해 보이지만, 우리나라나 서구 일반의 문학계처럼 북한에서도 셰익스피어 비극은 인기가 높다. 또한 북한의 비평은 사상성 혹은 주제 중심이고 작품의 구조, 언어, 극적 기법과 같은 요소들이 배제될 것이라는 편견을 가지기 쉽지만 그렇지 않다는 것을 셰익스피어 비극 비평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북한의 셰익스피어 비평은 서구의 전통적 성격비평을 강하게 비판하며, 비극의 주된 원인을 개인의 문제보다는 사회적 문제로 해석한다. 비극작품 분석에 있어서는 햄릿, 오셀로, 로미오, 줄리엣...
[학술논문] 북한 아리랑류 민요풍 노래의 의미
...고난의 행군 시기 이후인 1998년부터 2002년까지 창작되었다. 이 곡들 모두 3절로 구성된 단순하고 쉬운 가사, 여러 전통장단 중 빠른 템포를 갖는 2소박 계통의 안땅장단의 선택, 그리고 전통음악에서 사용하는 선율진행과 선법 등을 사용함으로써 손쉽게 체제 찬양과 당의 정책을 선전하는 서사를 가지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음악에서의 사상성, 현대성, 민족성까지 확보하면서 명곡의 반열에 오르게 되었다. 또한 사회 유통망 속에서 지속적인 노래배우기와 노래부르기를 거치면서 인민성과 대중성까지 획득하게 되었다. 북한에서 고난의 행군 이후 <아리랑>을 강조해왔고, 다른 민요풍의 노래와 달리 통일․선군․가계찬양․강성대국건설과 같은 큰 주제를 품은 새로운 아리랑을 창작 보급한 것은 1980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