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한 사회복지 제도통합: 구성 쟁점
본 연구의 목적은 통일한국의 사회복지 통합을 감안할 때, 남북한 사회복지 제도 구성 쟁점에 대한 분석과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해결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범위는 사회복지제도 중 사회보험, 공공부조, 사회보훈, 사회복지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남북한의 사회복지제도에 대한 비교연구방법을 시도하였다. 사회복지제도에 대한 분석틀은 길버트와 테럴의 기준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서술순서는, 첫째, 본 연구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기존 연구의 경향에 대해 최근 5년 연구를 기준으로 고찰하였다. 둘째, 현존하는 남북한 사회복지제도를 기능과 급여 중심으로 간략히 분석하였다. 셋째, 남북한 사회복지제도의 ‘구성 쟁점’을 분석하기 위해 각 제도의 적용대상, 급여계상, 급여종류,...
[학술논문] 남북한 사회복지 통합에 대한 소고
본 연구는 남북한 사회복지제도를 놓고 통합에 따른 운영과 제도적 쟁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근거로 남북한 사회복지 통합방식에 접근하면 다음과 같은 함의를 갖는다. 남북한 사회복지 통합방식은 통일직후 실제에 대한 평가 이후의 점진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되는데, 이는 현재를 기준으로 판단할 때 통일직후 즉각적인 통합이 불가능하다는 현실적인 판단근거에서 비롯된 것이다. 남북한 사회복지제도 통일직후 중심으로 통합방향을 요약하면 ① 남한 제도 기준 점진적 적용・도입, ② 남한 제도 도입을 전제로 하되, 별도 급여기준(혹은 재산정)으로 즉각 적용, ③ 북한 제도 한시적 유지 후, 남한 제도 적용・도입, ④ 특정 일방의 제도를 떠나 즉각적인 특별 긴급구호(한시적)제도 도입, ⑤ 특정제도와 연계하여 진행・도입으로...
[학술논문] 북한 사회보장법 법적 분석: 기존 사회복지 관련 법령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의 「사회보장법」을 기존의 관련 법령들과 비교, 그 특성을 분석·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동 법령의 정체성을 의의, 위치, 역할, 기능, 한계 등을 통해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동 법령의 적용 대상, 급여, 재정 부담, 전달 체계, 관리·운영을 중심으로 기타 법령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토대로 동 법령의 법제적 함의를 의의와 평가, 지속성과 변화를 통해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 북한의 「사회보장법」에 대한 의의와 평가를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 법령은 북한이 직접적으로 사회보장에 대해 최초로 공표한 법령으로서 지대한 의의가 있다. 둘째, 동 법령은 사회보장사업에 대해 북한이 국가 차원의 함의를 밝힌 것으로 북한의
[학술논문] 독일을 사례로 한 한반도 사회복지제도의 통합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독일의 통일을 사례로 하여 한반도가 통일 될 경우 사회복지분야에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검토하고 예상되는 복지국가형태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남북한의 통합과정에서도 북한의 사회복지를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는 가장 핵심적인 문제로 등장할 수 밖 에 없다. 왜냐하면 사회복지는 남북한 간에 발생할 수 있는 체제의 이질성과 갈등을 완화하고 공동체적 동질성을 회복하기 위한 결정적 역할을 할 것이기 때문이다. 남북한 주민의 경제수준과 복지수준의 차이가 큰 현실에서, 통일이 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대량 이민에 대한 응급적인 거버넌스와 실업에 대한 준비가 우선 시급한 과제이며, 장기적으로 소득보장, 의료보장, 사회서비스, 일자리 창출 및 통일재원마련 등을 어떻게 해결해 나갈 것인가에 대한 준비가 본격적으로
[학위논문] 남북 경제통합에 관한 법제도적 연구
...남북통일의 세 가지 특수성을 고려할 때 시장경제질서 도입으로 이질적 체제간 통합이라는 특수성을 극복하고; 남북경제통합으로 남-북 국가간 격차를 해소하며; 경제협력협약으로 민족내부거래에 대한 최혜국대우 위반 제기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다.
만약 통일이 먼저 이루어지고 경제통합을 추진하는 경우라면 남북간 1인당 국민총생산 규모 격차; 노동․사회복지제도의 수준을 감안할 때 독일과 같은 편입방식의 통일은 통일비용측면에서 사실상 적용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도 경제통합은 점진적으로 추진하여야 하며 점진적 경제통합의 일환으로 최근 경제학자들을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는 ‘한시적 분리운영방안’을 법제도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즉; 한시적 분리 운영방식은 경제통합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