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정은 시대 심야 열병식에서 나타난 북한 권위주의 정권의 정당성 연출과 전략적 모호성
...‘사회적퍼포먼스’ 개념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기존 연구들이 열병식을 군사력 과시나정권 선전 도구로 국한해온 것과 달리, 본 논문은 심야 열병식이 퍼포먼스의연극적 구조를 통해 대내적으로는 정권의 정당성을 보완하고, 대외적으로는 전략적 불확실성을 연출하는 이중적 장치임을 주장한다. 이론적으로는 알렉산더의 퍼포먼스 구성요소—배경 상징, 각본, 행위자, 관객, 상징 생산 수단, 무대연출—의 작동방식을 검토한다. 특히 ‘심야’라는 비일상성과 조명, 장면 통제를활용한 연출은 김정은의 신격화와 시각 효과를 극대화하며, 무기 공개 방식은전략적 모호성을 제도화한다. 본 연구는 심야 열병식을 대내적 정당성 연출과대외적 억지력 강화를 통합하는 독자적 군사 퍼포먼스로 분석하며...
[학술논문] 한국 정치극의 전개 양상 -1920년대부터 80년대까지의 정치극운동을 중심으로-
...것이며, 공연은 재현과 의례를 결합한 퍼포먼스 형식을 취했다. 세 번째 정치극운동 시기인 1970-80년대는 3공, 5공, 민주화시기라는 정권의 변화에 따라 각기 변별되는 전개양상을 보인다. 3공이 반공을 국시로 삼으면서 좌파 이념을 명백히 내세운 정치극은 사라진다. 검열을 피해 재야연극운동이 일어났는데 대학가의 탈춤부흥운동과 연계해 마당극 양식을 만들어냈다. 체제비판적, 현실참여적 내용은 이전 시기 정치극을 계승하는 것이지만, 역사의 주체로서 민족, 민중을 상정하고 전통연희 미학을 결합한 새로운 진전을 이루어냈다. 마당극은 민족/민중성이란 지향 담론에 맞추어 미학에서도 민족/민중연희 양식을 접목했고, 배우와 관객이 함께 참여해 만들어가는 ‘열린 퍼포먼스’를 시도했다. 또 노동자 농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