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사회주의 농촌테제의 등장 배경
...농업협동화를 추진할 때에는 농민들의 혁명적 열기가 고조되는 데 반해
사회주의 건설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면서부터는 농민들의 기세가 올라가지 못하는가? 북한정권은 농촌에서 혁명을 계속하지 않고 중단하는 데서 문제를 찾았다. 북한정권은 현실적인 제약조건에도 불구하고 계속혁명론에 근거한 사상, 기술, 문화혁명을 추진하였다. 노동자와 농민의 계급적 차이를 제거하고, 협동조합적 소유를 전 인민적 소유로 전환시킴으로써 생산력 발전을 추동하여 농촌 현실과
사회주의 이상과의 괴리를 극복하는 것이
사회주의
농촌
테제의 목표였다. 이를 위해 북한정권은 협동조합을 협동농장으로 변모시켰다. 북한정권은 농업이 가진 특성과 협동조합이 갖는 독자성을 인정하고
사회주의 안에서 끌어안기보다는 농업, 농민, 협동조합의 특징을 산만하고 과도기적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