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한 사회과 교과서 비교 분석을 통한 상호이해교육 방안 탐색
... 특히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에서 통일에 대해 비중 있게 다루고 있었다. 이를 포함한 남한 사회과 관련 교과서에서는 통일의 필요성, 통일의 혜택, 통일을 위한 남북 교류의 과정, 지향하는 통일의 방향,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이해 등을 약간씩 담고 있으며, 북한의 이해를 위해 자연환경이나 북한의 개방지역, 비무장지대의 이점을 소개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남북한의 질적인 상호이해와 점진적인 소통을 위해서는 남북한의 시각을 교육하는 방안, 남북한 문화 이해 교육, 남북한 체제 이해 교육, 남북한 사회 이슈 교육이 필요하며 이러한 내용을 다루기 위해 다양한 수업 방법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할 것이다.
[학술논문] 2000년대 이후 통일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괴리를 안고 우리의 통일교육은 남북 통합을 지향하면서, 학생들과 통일 관련 토론을 하고 남북한 주민의 생활을 이해하는 활동을 기초로 하는 교육을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이에 통일교육 관련 교사는 통일을 추구하는 모습 속에서 교실을 생기 넘치는 실천 교육장으로 만들겠다는 의지가 보여야 한다. 그래서 남북한의 관계가 소원해 지고 남북한의 적대적 행위가 노골화되어 북한에 대해 불신하는 과정에서도 학생들에게 통일 지향적 방법과 해결책을 모색해 주어야 한다. 이제 우리 학교는 분단을 뛰어넘는 통일로의 중심을 잡고 진척하는 통일교육적 노력이 요구된다. 즉, 우리의 통일교육은 북한에서 실시하는 북한식의 통일논리를 극복하고 우리의 우월성 주장에만 강조하는 통일교육을 넘어 진정한 자유, 평등, 상호 이해, 민족 통합을 위한 진정한...
[학술논문] 교사의 다문화역량과 탈북청소년 대상 기독교대안교육
...대상 교육이 가정의 돌봄의 기능까지 제공하는 포괄적인 성격을 지님을 드러내며, 성별과 연령, 출신지역 및 탈북경로 등에 따른 탈북청소년 집단 내부의 다양성을 반영한 맞춤식 교육과정의 운영 또한 교사들이 견지하는 기독교적 사랑에 기반하고 있었다. 교사진의 그러한 인식과 교육실천은 그들이 남한의 공교육을 받는 다수의 학생들과 탈북청소년이라는 소수집단 사이에서 상호이해와 반편견, 그리고 평등을 강조하는 다문화역량을 발휘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남한의 북한이해를 증진시키고, 통일 이후에 남과 북을 모두 이해하는 전문가로서 사회통합을 이루어낼 수 있는 탈북청소년의 교육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탈북청소년 대상으로 특화된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법, 교원 양성의 수단에 대하여 본 연구는 무엇보다도 탈북청소년 대상 교육에 대한...
[학술논문] 남북한 사회통합의 현안과 통일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 남북한 상호이해교육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 사람들 간에 오해와 불신, 반목과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 통일교육은 ‘남북한 상호이해교육’을 포괄하여 확대·발전될 필요성이 있다. 통일교육은 남북한 사람들이 서로를 이해하고, 차이를 존중할 수 있도록 대화와 교류의 기회를 만들어주는 ‘공론의 장’이 되어야 한다. 통일교육의 이러한 변화는 미래 한반도의 통일이 ‘사람’ 중심의 통일이 되는 데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학술논문] 민주 사회에서의 통일교육 발전 방안
통일교육은 분단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평화 통일의 노력을 강조하는 민주 시민 교육적 논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그 속에서 국민들은 통일교육을 통해서 사회적 통합을 지향하면서 현재 존재하는 보수와 진보의 통일 목소리를 파악하여야 한다. 이에 통일교육은 사회적 통합과 상호 이해의 길을 잘 담고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실질적으로 남북한 갈등의 가능성을 줄이는 통일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분명 통일교육은 민주 사회에서 강화되어 민주적 토양에서 새로운 교육적 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한 통일 역량을 통해 현실과 미래 지향적인 통일교육의 현황과 전망이 보다 구체적으로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