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북 여성들의 초국적 이동과 유연한 시민권의 명암: 서구 국가에서 난민 경험을 하고 남한에 재입국한 사례들을 중심으로
...언어적 자원들은 남한에 다시 재입국했을 때 새로운 효과를 낳기도 한다. 가령 탈북여성의 자녀들은 제국의 언어인 영어를 습득함으로서 남한에서 탈북민이라서 받았던 문화적 차별에 대응하고 상황을 전복시키기도 한다. 분단 체제와 비서구/서구 국가의 경계를 넘나들며 탈북여성들이 협상하는 시민성과 난민성은 젠더와 계급, 국적 등이 교차하며 발현되는 ‘
상황성’과 비가시화된 영역에서 위험과 비용들을 개별적으로 감당해야 하는 ‘취약성’을 내포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interpret the lived experience of transnational mobility of the North Korean women migr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