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모빌리티스 패러다임으로 본 개성공단: 새로운 모빌리티스 시스템으로서 개성공업지구 통근버스가 만들어 낸 사회-공간
... 인근 지역을 아우르는 인적, 물적 네트워크에 의해 작동되었다. 이러한 네트워크를 구성한 가장 결정적인 기제는 통근버스라는
새로운
모빌리티 시스템이었다. 본 논문은 이론적인 틀로서
모빌리티스
패러다임을 적용하여, 고정된 결과물이 아닌 우연적이며 누구도 예측하지 못한 경로를 따라 창발적으로 진화해 간 개성공단 이야기를 재구성하고자 한다.
모빌리티 이론은 국가중심적 담론에서 다루기 어려운 북한 사회의 사회문화적 미시적 변화상을 포착하는 데에 통찰을 줄 뿐 아니라 통근버스
모빌리티라는 남북 공조 시스템이 유연하고 능동적인 사회경제적 공간을 만들어 낸 과정을 고찰하는 데에 유용성을 준다. 이를 통해 개성공단의 실질적 효과를 다차원적으로 조명하고자 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