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방 직후 북한 철도시설의 실태와 복구양상 (1945~1948)
...북한의 철도가 해방 이후 빠르게 정상운행 될 수 있었던 이유에는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부터 시작된 일원화된 업무지시체계가 근간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해방 직후 설치된 북조선 행정 10국 교통국이 철도의 복구에 매진하였고, 이후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교통국이 업무를 그대로 이어받아 철도운영에 대한 지침을 만들었다. 이와 동시에 기술인력 양성기관을 세워 일본인기술자들의 공백을 채웠다. 이렇게 양성된 철도기술자들과 철도노동자들은 기술 교육과 동시에 정치교양교육을 학습받았다. 이후 이들은
생산돌격운동을 벌여 철도자재확보와 철도운송에 있어 100%가 넘는 성과를 달성하게 되었다. 즉, 국가의 일원화된 체계 속에서 정치사상으로 교육받은 노동자들의 생산활동과
생산돌격운동이 상호작용한 결과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