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생태적자 추이 및 영향요인 분석
북한은 환경자원 소비가 충분하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생태발자국이
생태
수용력보다 큰 생태적자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생태
수용력과 생태발자국, 생태적자 추이를 살펴보고, 생태발자국과
생태
수용력의 비를 의미하는 오버슈트 비율에 영향을 준 5개 요인의 기여도를 살펴보았다. 5개 요인은 생태발자국을 구성하는 인구와 개인의 환경자원 소비강도를 의미하는 일인당 생태발자국,
생태
수용력을 구성하는 토지면적, 생산성인자, 그리고 토지면적과 생산성인자를 제외하고
생태
수용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등가인자와 연간생산성인자 변화율의 곱)이다. 북한의 생태적자는
생태
수용력보다 생태발자국을 구성하는 요인에 의한 기여가 높았다. 생태적자는 1966년에 시작되었는데, 이 시점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는 일인당 생태발자국 값이 오버슈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