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을 바라보는 한국 영화의 시선‒간첩의 서사적 역할 분석을 중심으로
...주목한다. 그러나 변화의 연대기적 기술보다 구체적인 개별 텍스트의 분석을 통해 영화 속 이데올로기를 규명한다. 가장 최근의 관점을 확인하기 위해 2014년 1월을 기점으로 최근의 작품인 <간첩>, <은밀하게 위대하게>, <베를린>을 서사-기호학적 이론으로 분석한다. 세 영화는 유사한 서사구조를 갖는다. 주체의 결핍 양상이나 서사적 역할들에 내재된 이데올로기가 매우 유사하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남한과 북한을 대변하는 요원들을 묘사하는 방식이 매우 차별적이다. 인간과 비인간의 대립, 개인의 가치와 집단의 가치의 대립을 통해 남한의 우월성과 북한의 열등함을 부각시키는 것이다. 우리는 체제의 신화화 과정을 서사-기호학적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신화를 해체함으로써 수용자들은...
[학술논문] 주체사상 시기 북한 ‘사회주의건설주제작품’의 역사적 변모양상 -1960~1990년대 북한 서사시를 중심으로-
...‘원하는 현실’을 반영한다. 현재의 재구성을 통하여 북한사회가 안고 있는 현실적인 문제점을 배경화하는 것이다. 둘째, ‘김일성 수령’이 세계를 지배하는 신성(神性) 즉 선의 역할을 떠맡고 있다. 위대한 수령과 위대한 당이 있어 조국은 위대하다는 것이며, 이를 증명해주는 구체적인 예시가 북한 ‘사회주의건설주제’의 서사시이다. 셋째, 모순과 갈등을 넘어서서 가치를 성취하는 결말구조를 보인다. 북한사회는 스스로가 완결된 사회임을 기정사실화하고, 그 사회의 내적 산물인 모순과 갈등을 결코 허용하지 않는다. 넷째, 서사적 주체가 현실의 재구성을 통하여 객관적인 삶을 지배하려는 주관적인 행위를 보이는데, 이는 총체성이 결여된 서사시 형식의 특징적 요소이다.
[학술논문] 북한이탈여성의 직장 내 대인관계 경험에 관한 포토보이스 연구
본 연구는 포토보이스 방법론을 적용하여 북한이탈여성이 직장 내에서 대인관계를 어떻게 경험하고 인식하는지를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참여자들이 직접 사진을 촬영하고 그에 대한 서사를 구성하는 과정을 통해, 그들의 대인관계 경험에 담긴 감정과 의미를 시각적·서사적으로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수도권에 거주하며 직장에 재직 중인 북한이탈여성 4명으로, 포토보이스 오리엔테이션과 심층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총 3개의 대주제(적응과 성장의 힘이 되는 직장 내 대인관계, 관계 형성을 방해하는 요인, 관계 형성을 돕는 요인), 6개의 하위주제(있는 그대로 봐 주는 편안한 관계, 하나 되는 동등한 관계와 성장, 너무 버거운 관계와 환경, 관계를 가로막는 38선...
[학위논문] 북한 재난에 관여한 해외기관 소장기록의 재현 : 기록 읽기와 드러내기 글쓰기의 시도
이 글은 북한의 식량위기와 재난 대응 지원을 둘러싼 아카이브의 실천성을 위해 아키비스트가 탐험적으로 해외기관의 소장기록을 찾아내고 기록을 이용하여 해석이 가미된 서사적 글쓰기를 시도한 결과이다. 이 연구는 아카이브를 준비하기 위한 예비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연구자는 1990년대 이후 북한에서 본격화된 국제사회의 인도적 지원과 재난관리 경험과 교류를 알아보고자 이야기(서사)가 깃든 기록의 재현을 시도하였다. 기록의 재현은 남북한 소통과 정보접근의 제한이 많은 현실 여건에서 북한사회와 취약계층이 처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해외기관의 관여 목적을 알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아볼 수 있다.
인도적 지원과 재난 대응 기록은 피해지역 당사자들의 위기를 함께 인식하며 공동체 회복을 꾀한다는 점에서 공동체...
[학위논문] 분단영화 속 분단서사/통합서사 구조 분석과 통일인문콘텐츠 개발 방안
...나아가, 통일인문콘텐츠는 단순한 엔터테인먼트를 넘어 사회적 담론을 형성하며 한반도의 평화와 공존 을 상상하는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논문은 분단영화에서 나타나는 분단서사와 통합서사의 구조적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통일인문콘텐츠의 서사 전략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분단서사는 전쟁과 이념 갈등을 통해 단절과 적대적 정서를 고 착화하며, 남북 간 심리적 거리감을 확대시키는 서사적 기제로 작용함을 확 인하였다. 반면, 통합서사는 이러한 적대적 정서를 해체하고, 공감과 화해를 중심으로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며 대립적 구조를 초월하는 과정을 보여준 다. 이러한 서사적 전환의 과정은 통일인문콘텐츠의 설계에 있어 중요한 단 서를 제공하며, 통일인문콘텐츠는 대중적 서사를 통해 남북 주민 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