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남북관계]
...통일지향적으로 견인하는 단계로 해석할 필요가 있다. 2단계 남북연합 단계의 목표를 ‘민주주의 남북연합’으로 설정해 이질적 2체제 또는 민주주의와 독재체재의 병존이 아닌 민주주 의체제 간 잠정적 과도기와 상호동질적 수렴 과정으로 해석할 필요가 있다. 3단계 통일국가 단계의 목표를 ‘민주주의 통일국가’로 명시해 남북의 자유 선거를 거쳐 보편가치와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기반을 둔 한반도 1민족 1국가 1체제의 완성을 지향해야 할 것이다.
중장기적 관점에서 북한의 변화를 견인하는 방안도 모색되어야 할 것 이다. 이를 위해서는 북한 주민의 정보접근권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북한 주민의 정보접근권 확대를 위해서는 창의적인 대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민간과...
[통일/남북관계]
...고찰한다. 역대 대한민국 정부의 대북정책과 독일의 통일과정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통일한국의 비전에 따른 5가지 과제를 꼽아본다.
제3장은 임재천 고려대학교 통일외교안보전공 교수가 정원희 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 선임연구원과 ‘통일한국의 정치체제와 제도’에 관해 고찰한다. 통일과 관련된 국가체제, 정부형태, 의회 및 선거제도에 관한 주요 논의를 살피고, 북한의 현 정치체제의 특성을 살핀다. 독일통일의 정당통합 등 정치 변화 사례에 비추어 남북한의 정치통합 이후의 변화와 통일한국의 정치구조를 크게 5가지로 나누어 예측하고, 안정적인 통일한국 정치제도 형성을 위한 제언을 제시한다. 제4장에서는 김혜원 고려대학교 통일융합연구원 연구위원이 ‘통일 이후 남북한 행정통합’...
[학술논문] 1947년 북조선 면ㆍ리 인민위원회 선거
...전역에서 면, 리 인민위원회 선거가 실시되었다. 선거는 임시적인 성격의 지방정권기관을 상설적인 정권기관으로 전환시켰다. 인민위원회 선거는 지방정권기관에 정통성과 합법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았다. 1947년 2월 도, 시, 군 인민위원회 대회가 개최되어 최고주권기관인 북조선인민회의와 최고집행기관인 북조선인민위원회가 조직된 것이다. 인민위원회 선거는 북조선의 국가건설 프로젝트였던 것이다. 인민위원회 선거는 북조선 사회에 소비에트 민주주의를 조기에 정착시켰다. 선거는 당–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통일전선–정당․사회단체 –대중으로 연결되는 정치사회적 동원 체계를 제도화하고 당의 지도적 역할을 한층 강화했다. 선거 규정은 일반적 평등적 직접적 선거원칙 및 비밀투표를 분명히 했지만...
[학술논문] 1946년 북조선 도ㆍ시ㆍ군 인민위원회 선거
In November 1946, the elections of provincial, municipal, county People's Committees were held in every part of North Korea. Through these elections, the temporary local authorities became the permanent organs of the government. However, the role of these elections did not end with giving local authorities legitimacy and legality. Indeed, the provincial, municipal, and county Committee members
[학술논문] 1954년 제네바정치회담과 외국군 철수 의제
...1954년 제네바정치회담에서 한국문제를 논의하기로 결정되었다. 회담에는 한국과 유엔참전 15개국(남아공 제외), 북한과 중국·소련 등 총 19개국이 참가하였다. 회담의 의제는 한반도 통일방안이었고, 구체적인 논의과정에서 통일방안의 조건으로서 외국군 철수 문제와 유엔의 지위 문제 등이 쟁점이 되었다. 회담에서 양측은 모두 선거에 의한 평화통일을 주장했다. 그러나 선거방법과 선거 감시문제에서 차이를 보였고, 외국군 철수 문제에서는 유엔군 측이 침략군인 중국군의 우선 철수를 주장한 반면, 공산군 측은 모든 외국군대의 즉각적인 동시 철수를 주장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였다. 유엔군 측은 한반도 통일 전에 유엔군을 철수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유엔참전국 내부에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어 유엔군 측 주장을...
[학술논문] 헌법규범과 헌법현실 - 한국헌법의 규범과 현실의 괴리문제 -
...상당히 확대 강화되었다. 그렇지만 헌법현실에서의 기본권보장의 불완전성과 불충분성은 사회통합규범으로서의 기능적 한계를 보이고 있다. 정치적 평화유지규범으로서의 기능도 이와 비슷한 수준이라 할 수 있다. 헌법의 운용과정 내지 헌법현실에서 제기되는 개별적 문제점으로는 첫째, 헌법상 국민주권원리와 대의제원리가 정치현실과 괴리되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우리의 선거제도와 정당정치의 현실은 국민의 자유로운 정치적 의사가 공정하게 국가기관의 구성과 그 의사결정에 반영되지 못하는 측면이 있으며, 의회주의의 현실은 국회가 국민의 불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의원은 전체 국민의 대표자로서의 지위와 국가이익우선의 의무에 반하여 정당원으로서의 활동에 치중하고 있다. 대통령의 권한행사와 정부의 정책결정도 국민주권의 이념에 입각하여...
[학술논문] 일본 안보관련법의 위헌성과 한반도 평화
... 할 것이나 2016-2017년에 걸친 참의원 및 중의원선거에서 호헌평화세력이 강해지면 이러한 교착상태의 유지 내지 안보관련법의 폐지 등의 가능성도 닫혀있는 것은 아니다. 한반도 평화에 중대한 악영향을 미칠 일본의 안보관련법이 한반도의 유사시를 상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남북관계의 평화적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그 존립 기반은 더더욱 좁아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