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전쟁기 북한 민주선전실의 교육과 동원 활동에 관한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전쟁기 북한이 체제 붕괴를 방지하고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농촌 지역 민주선전실의 활동을 통해 선전선동을 어떻게 이용하였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북한은 이북 지역 재 수복 후 민주선전실을 중심으로 대중들의 정치사상 교육과 전쟁 지원을 위한 동원을 통해 김일성의 정치적 권위 회복과 체제 정당성을 형성 및 강화, 정치·경제적 기반을 재확립함으로써 체제의‘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다. 국군과 유엔군의 우세한 화력은 북한체제의 중요한 정치, 경제, 군사적 기반을 파괴하였지만 북한 인민들을 파괴한 것은 아니었다. 한국전쟁은 북한에게 선전선동의 전쟁이었으며, 민주선전실은 ‘군인들의 전쟁’을 ‘인민들의 전쟁’으로 전환시키는데 결정적인
[학술논문] 한국전쟁기 북한의 민주선전실에 관한 연구 - 운영구조와 지도체계를 중심으로 -
...중국인민해방군의 도움으로 이북 지역 재 수복 후 민주선전실을 중심으로 한 선전선동망을 개편, 확립을 정책의 우선목표로 설정하였다. 전쟁 전 비당원, 지역인사를 중심으로 주로 선거 및 오락 활동에 치중하던 민주선전실에 유급민주선전실장제를 도입, 열성 당원을 파견해 중앙당에서 직접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전환시켰다. 민주선전실의 효율적인 운영과 사업을 위해 실장, 부실장 및 선동원을 모두 당원으로 제한하고 그들의 선발과 교육을 직접 지역 도당 및 인민위원회에서 담당하였다. 북한은 당과 인민위원회의 민주선전실에 대한 체계적인 지도와 감독, 민주선전실장과 부실장, 분실장 및 선동원들의 역량 제고를 통해 민주선전실 사업의 성과를 높이며 전쟁기 농촌지역 주민들을 김일성과 북한체제를 위한 일심단결된 투사로 만들기 시작했다.
[학술논문] 북한예술영화 <붉은 선동원>(1962) 연구: 원작 연극의 영화적 각색과 매체 전환
The film The Red Agitator (1962), adapted from Cho Baek-ryeong’s 1961 play of the same title, is a representative North Korean art film that visualizes the Chollima-era imperative of internalizing collectivism through re-education narratives in the 1960s. This study examines the adaptation process from stage to screen and analyzes the artistic orientation and medium-specific transformations introduced
[학술논문] 북한 ‘인민성’ 개념의 구성과 재현
이 글은 북한의 ‘인민성’ 개념이 어떻게 구성되고 재현되는지를 살핀 글이다. 북한은 사회 운영과 통치에 필요한 수많은 개념들을 만들어내고 그것을 국가의운영 원리로 삼곤 한다. ‘인민성’은 북한 문학예술의 중요한 창작 원리이자 동시에 북한 사회를 지탱하는 하나의 가치로서 이데올로기적으로 재구성된 이상화된개념이다. 이 글은 ‘인민성’이라는 개념이 어떤 이상적 상태를 지향하면서도 항상현실에 발붙여야 한다는 각성을 불러일으키는 하나의 감성전략적 용어라는 점에주목한다. ‘인민성’은 문학예술 분야의 용어이기 이전에 보다 보편적이고 광범위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1960년대 후반 문학예술에서 주체 철학이 관철되면서 본격적으로 ‘당성’
[학술논문] 천리마 시대 ‘혁명적 군중 노선’의 극적 구현 양상 고찰: 조백령의 <붉은 선동원>의 경우
본고는 천리마 시대의 희곡 <붉은 선동원>을 통해 북한 천리마 운동의 ‘혁명적 군중 노선’이 어떻게 극적으로 형상화되었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천리마 작업반 운동은 생산량의 증대를 도덕성과 함께 제시함으로써 북한 사회의 생산 양식 뿐 아니라 의식 구조를 사회주의적으로 변개시키는 과정이었다. 그 주요 방법론인 혁명적 군중노선은 생산량의 증대를 위해 인민대중의 광범위한 지지를 얻는 것을 그 목표로 하였다. <붉은 선동원>에서 리선자는 항일유격대의 기준에 맞추어 자신의 당성을 완성시켜 나가는 한편, 낙후 반원의 인간적 문제를 해결하여 작업반에 참여하도록 한다. 이것은 극의 본질적 속성인 발견-깨달음과 그로 인한 급전이라는 속성에 부합하는 플롯 구조이며, “마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