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러 전략적 동반자 관계의 조건과 과제
...포격사건에 대해 전략적 관계인 한 · 러 양국이 ‘전략적’ 입장 차이를 드러낸 것이 적절한 사례가 될 것이다. 이렇게 볼 때 한·러 전략적 관계는 전술적 기회주의1)를 내포하고 있고, 실제 현 양국관계의 수준을 설명하는 묘사적 개념이 아니라 미래지향적 실천개념으로 남아 있다. 이 글의 목적은 한 · 러 수교 25주년에 즈음해 양국관계 발전을 제한하고 있는 요인이 무엇인지, 그리고 21세기 한 · 러 양국 사이에 전략적 관계 구축이 왜 필요한지를 지정학적, 지경학적, 지전략적 맥락에서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가운데 현재 선언적 수준에 머무른 전략적 관계의 내실화를 위해 한·러 양국 모두에게 요구되는 정책 과제를 제시하는 데 있다.
[학술논문] 북한 국어 교과서의 언어적 특징에 대한 코퍼스 기반 분석 - ‘경애하는’을 중심으로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in North Korean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arts(KLA) textbooks and to explore their educational meaning. I acquired North Korean KLA textbooks from the Information Center on North Korea, converted it to text corpus(hwp file) using Hangul program, and converted it to text file on computer. As a result of analysis of ’North
[학술논문] 재일한인 사회의 통일운동 고찰: 한통련을 중심으로
...둘째, 연대를 통한 통일운동의 활성화이다. 반면에 한계로는 첫째, 이념 탈피의 실패; 둘째, 한통련 활동, 강령과 실천운동의 괴리이다. 한반도 통일과 관련하여 한통련은 주한미군 철수, 국가보안법 철폐, 외세의 배격을 주장하고 있다. 현재의 남북한 관계를 고려한다면, 전쟁의 안전판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주한미군의 철수는 시기상조이다. 통일 논의에서 주변 강대국의 협력과 지원은 한반도 통일을 촉진하는 요인이다. 외세의 배격이 아닌 협력을 받아야 한다. 따라서 한통련은 선언적 의미보다는 현실적 적합성을 갖는 통일 논의와 주장을 전개해야 한다. 북한의 핵개발과 핵실험을 미국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한통련의 주장은 한반도 비핵화를 추구하는 강령과 모순된다. 균형적 관점에서 한반도 평화를 담보하는 통일운동이 필요하다.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에 대한 고찰 - 국내법적 논의를 중심으로 -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다양한 보호와 지원제도를 규정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국가의 책임으로 수행하도록 되어 있어서 실제 북한이탈주민이 지방자치단체의 주민이 되는 시점에서도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제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상호 역할을 분담하는 방향으로 북한이탈주민법의 내용을 재편하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이들이 대한민국의 국민임을 선언적으로 밝힐 필요가 있고, 사회구성원들에 대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해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개선을 통해 북한이탈주민법이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안착과 사회통합에 기여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장치로 기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학술논문] 북한 의료법규 체계와 그 내용
...있다. 1997년 제정된 의료법은 북한 의료의 기본법으로서, 북한 의료의 목표와 기본원칙을 제시하고, 이어서 ‘검진과 진단’, ‘환자치료’, ‘의료감정’에 관한 기본적인 내용을 규정하고 있다. 북한 의료법은 남한에 비해 상당히 늦게 제정되었을 뿐만 아니라, 조문의 수가 적고 추상적이거나 선언적인 내용이 많다. 특히, 북한 의료법에는 의료인의 종류나 자격 요건, 의료기관의 종류와 개설요건 등에 관한 규정이 전혀 없어, 북한 의료법만을 가지고는 북한 의료체계를 한꺼번에 파악하기 어렵다. 북한 의료법상 진료에 관한 내용은 남한 의료법과 유사한 부분이 많지만, 신의학과 고려의학을 배합하고 고려의학적방법과 자연요법을 환자진료에 널리 사용하도록 한 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