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정은의 이미지 관리 전략: 『노동신문』 '1호 사진'을 중심으로
김정은이 북한을 통치하기 시작한 지 20개월이 지났다. 우리는 북한 사진을 조작과 선전·선동에 불과한 것으로 치부해버리는 경향이 있지만 북한은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방법으로 최고지도자의 이미지를 관리하고 있다. 김정은 사진은 김정은의 실질적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동시에 그것은 가치가 개입된 정치적 과정으로서 자신의 이미지에 대한 김정은 스스로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다. 2012년 1월 1일부터 2013년 5월 31일까지 북한『노동신문』에 게재된 김정은 사진 전체에 대한 내용 분석을 하였다. 변수로는 주제, 빈도, 표정, 시선, 쇼트(shot)의 크기, 출처를 살펴보았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노동신문』에 게재되는 사진을 전 세계로 전송하는데 이렇게 수신한 고해상도의 사진도 추가적으로 활용하였다....
[학술논문] 북한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의 이중구조와 북한정권의 커뮤니케이션 전략
기존의 북한연구는 북한의 외교행태를 단순히 선전선동에 입각한 ‘전술’차원으로 접근하면서 북한레짐의 독특한 성격 자체에 의거하여 북한의 커뮤니케이션 행위를 일률적으로 묘사해왔다. 이 글은 북한의 커뮤니케이션 행위와 전략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북한이라는 국가 행위자가 작동하는 북한 국내외 커뮤니케이션 환경과 조건을 면밀히 고찰할 것을 제시한다. 북한의 커뮤니케이션 구조는 북한당국 중심의 수직적 선전 커뮤니케이션과 탈북자, 탈북 브로커, 상인, 밀수업자들과 같이 국경선을 넘나들며 내부·외부정보를 유출입시키는 초국가 행위자들에 의한 수평적 커뮤니케이션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이질적 커뮤니케이션의 작동은 국제적으로 폐쇄된 북한 커뮤니케이션을 열린 네트워크로 작동하게 했는데, 그 결과 국제사회로부터...
[학술논문] 이미지에 드러난 북한체제의 정치커뮤니케이션: 1950~60년대 포스터를 중심으로
본 논문은 1950~60년대 북한에서 제작된 포스터(선전화) 200여점을 분석하여 북한인민의 생활미시사를 추적, 분석한다. 북한 현대사를 관통하는 정치적 사건과 경제적 주제들이 포스터에 어떻게 녹아들었으며 이것이 북한주민의 일상사에 주입됐는지를 실증적으로 검토하는 작업이다. 그 시기 포스터에 투영된 북한체제의 특징을 시각적으로 포착, 그것이 포스터에 어떻게 표현됐으며 인민들에게 전달됐는지를 사회주의적 사실주의(Socialist realism)의 기준에 대비하여 살핀다. 이는 북한 포스터가 갖고 있는 비주얼상 특징이 북한체제 전반의 과제를 담아냈는지를 인민의 생활 재발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1950~60년이라는 격동의 시기에 제작된 북한 포스터가 담고 있는 메시지와 특징이 당시 북한체제가...
[학술논문] 대통령 커뮤니케이션에 나타난 한국전쟁의 정치학: 텍스트 마이닝과 비판적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2003-2021)
...Discourse Analysis)을 활용해 한국전쟁을 둘러싼 담론의 거시적 맥락과 세부 전략을 살폈다. 분석 자료는 노무현·이명박·박근혜·문재인 대통령의 연설문이다. 분석결과, 대통령들은 체제 우월성을 강조하기 위해 한국전쟁을 재차 발화한 것으로 드러났다. 연설문에는 식민지와 전쟁, 분단, 산업화, 민주화로 이어지는 ‘성공 서사’를 통한 국가적 자부심이 담겨 있었다. 이러한 담론 전략은 국가 간 외교 행위에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전쟁은 그 자체로 아픔과 불안을 양산하지만, 대통령은 이를 극복해야 할 과제가 아닌 국민 단결과 선전의 도구로 활용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연구자는 한국전쟁을 평화롭게 종결하기 위한 미래지향적 담론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학술논문] 북한은 유튜브를 통해 무엇을 말하는가?: 주제 분석과 텍스트마이닝 기반 분석을 중심으로
이 연구는 김정은 시기에 등장한 유튜브에 주목해, 북한의 메시지를 구체화함으로써 대외선전의 의도와 목표를 도출하고자 했다. 북한의 대외선전이 단선적 커뮤니케이션 구조임을 고려할 때 메시지 분석은 콘텐츠를 통해 의도와 시각을 구체화하는 데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분석 방법론으로 주제 분석과 텍스트마이닝 기반 분석을 선정해 교차 검증을 진행했다. 분석결과, 북한 유튜브 콘텐츠는 문화, 산업, 자연이라는 대주제에서 당과 수령의 영도를 바탕으로 현대화되는 평양이 주요하게 나타난다. 즉 유튜브 표현 기반에 당/수령과 평양이 위치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대외 청중의 인식 변화를 위한 메시지의 방식과 매개는 변화했으나, 그 기반에는 큰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다. 텍스트마이닝 기반 분석에서도 ‘인민’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