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설화자료집 『조선민화집』의 수록 양상과 통일시대의 설화자료 통합방안 모색
...그러나 이러한 차이는 어느 한 쪽의 왜곡이나 잘못이 아니다. 오히려 이런 차이는 보는 관점에 따라 앞으로의 설화자료의 발전적 통합 방법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설화
장르
체계에 다른 구성과 개작 설화의 허용 문제, 그리고 번안동화와 창작동화를 포함하는 특성은 설화의 장르론 및 문학적 정체성을 규정하는 중요한 사안이기에, 수록된 자료들을 통해서 북한의 입장을 면밀히 고찰해 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여기서는 크게 3가지 측면에서 통합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우리 현실에 맞는 독자적이고 체계적인
설화
장르
체계의 구축, 개작에 대한 객관적의 이해의 필요, 현대 구전설화의 체계성 마련이 그것이다. 한민족의 정신과 문화가 함축된 구비문학이야 말로 남과 북의 소통 경로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