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과 일치에 관한 사도행전의 이미지 분석
...통일과 일치에 관한 다양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그것의 신학적 강조점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러한분석을 통해서 한반도의 통일을 위한 하나의 제안을 제시하는 것을 지향한다. 사도행전의 내러티브에는 누가복음에서 예수의 공적 사역을 추동(推 動)한 성령의 임재와 그의 선포주제인 하나님의 나라가 계속해서 중요한개념으로 활성화된다. 이것은 누가-행전의 내러티브가 동일한 목표를 향하고 있음을 증명한다. 우선 하나님의 나라는 사도행전의 내러티브를 시작하고 마무리 짓는 수미상관을 이룬다. 더불어 성령은 교회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중심개념이고 모든 증인들이 공유하는 하나님의 선물로서 능력이다. 이것은 초기 기독교 공동체가 하나로 결집되어 예수의 교훈을 그대로 실현시키는 신앙공동체가 되도록 이끄는 동력이다. 예루살렘 교회와안디옥 교회의...
[학술논문] 이영훈 목사의 오순절 통일 신학
이영훈 목사는 다양한 신학적 스펙트럼과 목회적 경험을 통해 치우침이 없는 통전적인 통일 신학의 기반을 구축하였다. 그가 주장하는 오순절 통일 신학의 핵심은 그리스도의 십자가 대속의 은혜를 강조한 것으로서 전통적인 복음주의 신학의 연장선에서 성령의 도우심을 따라 사랑을 실천하는 것을 전제한다. 남과 북의 분열과 갈등에도 불구하고 절대 긍정과 절대 감사의 신앙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사랑의 섬김을 통해 남북의 화합과 일치를 이루어야 한다는 것이 이영훈 목사의 통일 신학의 강조점이다. 이 목사는 통일 신학이 소통, 복지, 교회, 문화, 정치, 교육 등 전방위적 차원에서 적용되어야 통일 문제를 제대로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그의 통일 신학은 이론과 실천의 균형을 갖춘 것으로서 기독론적 십자가 사랑에 기인한...
[학술논문] 北韓學界의 文化遺産 現況調査 探索-1960~1980년대 「역사유적 조사자료」를 중심으로-
북한의 문화유산 정책은 해방 이듬해인 1946년에 「보물, 고적, 명승, 천연기념물 보존령」을 공포하며 체계적인 제도 정비와 함께 실천적인 방안이 강구되었다. 이러한 분위기에 맞추어 1963년 「전국적 범위에서 력사유적 중요대상과 보존 위기 대상을 전면적으로 조사할 데 관한 문화성령 제16호」에 근거하여 전국적인 1차 현황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1980년에 2차 현지조사를 진행하여 모두 1,800여 건에 이르는 「역사유적 조사자료」를 망라하였다. 먼저 「역사유적 조사자료」는 북한 소재 문화유산의 신․구 자료를 연결하는 가교 역할과 함께 자료의 공백을 메울 수 있는 자료로 평가된다. 분단의 장기화로 북한에서 생산된 조사자료 및 인쇄물 등의 접근은 지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한 해소책으로 「역사유적...
[학술논문] 탈북학생의 실생활 문제 해결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선행연구에 의하면 탈북학생들은 특히 실생활 문제에 대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탈북학생의 실생활 문제 해결과정을 사례연구로 진행하여 그 특징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탈북학생들은 외래어와 한자어에 대한 어려움이 있었으며 이에 대한 원인은 남한과 북한의 문화적 차이로 볼 수 있었다. 둘째, 독해에 대한 어려움이 있었다. 이 독해에 대한 어려움은 국어에 대한 자신감이 다소 낮거나 부정적인 인식, 낮은 학업 성취로 인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탈북학생들은 문자나 기호에 대한 어려움이 있었다. 넷째, 탈북학생들은 문제에 제시된 숫자에 주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경향이 강했다. 다섯째, 탈북학생들은 표나 식에 대한 익숙함을 갖고
[학술논문] 흰돌 강희남 목사의 평화 사상
...화목으로 풀고, 정의와 사랑의 완성을 통해 하나님 나라 운동을 이루는 것으로서 불필요한 이념과 사상, 차별과 불평등을 넘어 진정한 민주와 자주독립의 길을 완성하는 것이다. 나아가 한반도는 물론 동북아와 세계의 평화를 위한 기도도 해야 한다. 흰돌 강희남 목사는 이러한 분단의 현실을 극복하는 데 있어서 그 주체는 민중이어야 한다고 했다. 이를 토대로 평화통일누리는 남북의 평화적 만남과 나눔을 실현하고, 남북의마을과 고을이 만나는 실제적인 교류를 적극적으로 모색할 것이다. 평화와 통일은 이 시대에 최고의 소명이자 사명이다. 우리의 호흡이 멈추지 않는 한 이를 위한 기도는 중단되지 않을 것이며, 이 길을 여는 시점부터 완성의 목적지까지 살아계신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 성령의 인도하심의 능력이 항상 함께하실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