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동립 소설의 자유 담론
...‘계시’의 순간으로 상승하면서 ‘타자와의 연대’가 진정한 자유라는 주제를 생성한다. 실존적인 개인의 차원에서 탐색된 이 같은 과정은 소극적 자유(‘-로부터의 자유’)에서 적극적 자유(‘-을 향한 자유’)로 전환하는 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으나 비현실적인 시공간을 계기로 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추상적인 것이 되었다. 이는 사회적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는 작가의 절박함이 낳은 ‘선취된 전망’의 일종으로 보인다. 반공이데올로기와 국가주의가 강화되기 시작하던 때, 『사상계』매체 이념의 자유주의적 저항과는 다른 문학적 측면에서 추상적인 형태로나마 개인 간의 연대와 자유의 실마리를 보여 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학술논문] 통일교육의 정치교육적 함의에 관한 연구
...지니고 있는 정치교육적 함의와 지향성에 관한 것이다. 통일교육과 정치교육은 밀접한 상관성을 지니고 있다. 첫째, 현재 남북한관계는 체제와 이념의 이질성과 적대성이 매우 심화된 상태이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의 통일교육은 우리 체제와 이념의 수호를 위해 매진하는 정치교육적 역할을 다해야 할 것이다. 둘째, 통일교육은 단순히 정부의 정책을 홍보하고 전달하는 소극적 차원에서 벗어나 한반도 통일이라는 보다 큰 틀에서 자신의 역할을 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통일교육은 북한체제의 변화에 모든 역량을 다 바쳐야 한다. 이상과 같은 통일교육의 역할은 바로 정치교육적 역할과 큰 차이가 없다는 점에서 통일교육과 정치교육은 밀접한 상관성을 지니고 있다고 하겠다. 이를 기초해서 통일교육이 지니고 있는 정치철학적 함의를 지적하면 첫째...
[학술논문] ‘자주성의 역설’에 대한 성찰
...개념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 일각에서의 평가와 달리 사람중심의 철학적 세계관 자체가 이미 근대적 자유에 대한 심각한 축소와 왜곡을 함축하고 있음을 밝히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이글은 먼저 북한의 주체철학 내에서 자주성 개념이 가지는 의미와 위상 그리고 자주성과 자유 개념 사이의 관계를 분석했다. 다음으로 이글은 근대적 자유 이념을 구성하는 복합적 측면들을 해명한 후, 자주성 개념이 근대적 자유의 의미를 심각하게 축소․왜곡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에 따르면, 자주성 개념 속에는 먼저 최소 인권 개념이 터할 수 있는 소극적 자유의 개념이 들어설 여지가 없으며, 인간의 다원성과 복수성의 근거가 되는 진정성으로서의 자유 이념이 자라날 수 있는 터전도 없다. 뿐만 아니라 자주성에 잠재되어 있는 민주적 자기지배의 이념은...
[학술논문] 제4차 북한핵실험의 기본성격과 의미에 관한 정치철학적 분석
...위협요소가 될 것은 명약관화일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인식을 기초로 하여 본 논문은 제4차 북한핵실험의 의미가 갖는 정치철학을 보편적 가치와 우리 민족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우선 재차 북한핵실험은 자유가치에 대한 도전행위로 엄중히 규탄하지 않을 수 없다는 점이다. 자유가치는 우리 인류가 추구하는 보편적인 가치이다. 북한핵실험은 북한정권의 속성상 자유에 대한 도전으로 규정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북한핵실험은 평화가치에 대한 중대한 침해행위라고 할 수 있다. 평화에는 소극적 평화와 적극적 평화가 있는데 북한핵실험은 한반도와 동북아에서의 적극적 평화상태의 구축을 결정적으로 막는 암적 존재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북한핵실험은 우리 한민족의 민족정신과 완전히 배치되는 행동이다.
[학위논문] 韓·美 安保協力體制下에서 美國의 韓半島 危機管理戰略 硏究
...대한 인식과 위기관리 과정에 현격한 차이가 있었다. 먼저 위기인식에서 전자의 경우에는 미국에 대한 중대한 도전으로 간주한 반면 후자의 경우에는 단순한 무장공비사건이나 테러, 정전협정위반 등으로 인식하였다. 그에따라 위기관리 과정에서도 전자의 경우에는 미국이 주도적으로 강력하게 대응한 반면, 후자의 경우에는 한국이 강력한 응징보복을 주장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소극적이고 미온적으로 대처하였으며, 또한 정전협정의 유지와 이를 위반한 경우 원상회복을 위한 조치의 책임을 가지고 있는 유엔군 사령관이 후자의 경우 후속처리를 한국군이 전담하도록 하였고 작전통제권을 한국군이 환수한 이후에는 그러한 경향이 더욱 현저하였다. 또한 모든 경우에 보복응징은 배제시켰으며, 한국군이 단독으로 보복할 것을 우려하여 이를 자제시키기 위한 권고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