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휴전후 북한주재 소련대사의 활동 - 소련의 영향력과 김일성권력의 자율성
...가지고 있던 소련의 역할을 주목하고, 이 역할을 북한 현지에서 수행한 소련대사들의 활동을 살펴보았다. 1953년 4월부터 1956년 6월까지 소련대사는 김일성을 비교적 자주 만나 면담을 하는 유일한 외국 대사였으며, 소련공민 출신 인사와의 면담을 통해 북한 내정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북한지도부와 정책을 조율하는 것이 소련대사의 주요 활동이었다. 휴전 이후 소련의 경제원조는 북한의 경제 복구에 절대적인 영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소련대사는 구체적인 경제문제에 개입하며 북한지도부에도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대해 김일성정권은 구체적인 사안에 대해서는 소련을 존중하는 정책을 결정하였지만, 그들이 목표하는 경제정책을 관철하였다. 소련대사는 크고 작은 국제적 외교문제와 남북관계에 관련된 정책에 대한 소련의...
[학술논문] 중조연합사령부 재론: 창설과정과 배경
...수행하고 필요에 따라 작전협조를 행하겠다는 식으로만 대응했다. 작전지휘권 통합요구에 대한 김일성의 거부가 지속되자 毛澤東은 스탈린의 힘을 빌려 김일성, 북한 주재 소련 대사 슈티코프와 소련군사고문들에게 중국군과의 작전지휘권 일원화에 동의하도록 만들었다. 스탈린은 미국과 중국의 힘을 소모시키려는 목적의 소모전을 한반도에서 지속시키겠다는 자신의 전략적 목적을 위해 중국 측의 장기전 전쟁방침이 옳은 것이라고 인정했다. 동시에 김일성과 소련고문들이 작전지휘권 통합을 찬성하도록 해주라는 毛澤東의 요청을 받아들여 남침실패와 평양 일실에 대한 책임을 물어 북한의 소련대사와 군사고문들을 소환했다. 毛澤東이 高崗을 보내 김일성이 우려하는 바를 해소해주겠다는 언명에도 마음이 움직이지 않았던 김일성이 동의하게 된 것은 자신을 재신임한...
[학술논문] 북한의 38선 경비부대 창설과정과 제한전 구상
...38경비보안대는 1947년 9~10월에 2개 대대로 증편되었고 1948년 1월과 8월에각각 ‘38보안여단’과 ‘38경비여단’으로 개편되었다. 북한 지도부는 1949년 1~7월에 38경비여단을 3개 여단으로 증편했는데 그 이유는 1949년 초에 수립한 제한전 구상 때문이었다. 김일성은 1949년 8월에 북한주재 소련대사 슈티코프에게 강원도 삼척에 ‘해방구’를 창설하고 옹진반도를 부분 점령하는 계획을 제시했다. 그는 제한전을 통해 미국의 개입여부와 남한의 전투력을 탐색하고 이를 계기로 스탈린의 동의를 얻어 전면전을 펼칠 계획이었다. 북한 지도부는 1949년 5~8월에 38경비여단을 투입해 제한전을 개시했지만 소련은 미군과 군사적 충돌을 우려해 38경비여단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