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계급이론으로 바라본 북한사회
조선노동당은 착취계급이 사라진 북한사회에서 혁명적·선진적인 노동계급이
소자산가
의식이 강한 농민, 자유부동하는 인텔리를 잘 지도하면서 그들의 사상을 집단주의로 개조하고, 협동적 소유를 전인민적 소유로 바꿔내면 계급 없는 사회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해왔다. 그러나, 실제 북한사회의 노동계급은 1980년대까지도 개인주의와 이기주의를 극복하지 못했고 1990년대 경제난을 거치면서 결국 군대에게 혁명의 주력이라는 지위를 내어줬다. 경제난 속에서 농민들이 식량을 은닉하고 밀매한 사실로 알 수 있듯이 조선노동당은 농민 혁명화에도 실패했다. 북한사회의 인텔리 역시 조선노동당 계급이론이 말하는 ‘노동계급의 인테리’라기보다는 조선노동당에게 충성하는 인텔리에 가깝다. 이러한 조선노동당 계급이론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