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민족주의 연구
...공통성보다는 언어나 핏줄을 강조하는 모습을 보인 북한의 민족주의는 사회주의권이 붕괴되기 시작하자 실천이데올로기로 격상되었다. 붕괴되는 기존사회주의와 차별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민족주의를 본격적으로 재정립시켰으며, 조국통일에 있어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도 민족주의를 수령의 영도체계와 결합시켰다. 이제 북한에게 민족주의는 체제유지를 위해 버팀목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론적 재정립과 정교화도 진행되었다. 하지만 이것이 북한 체제의 변화를 의미한다고 볼 수는 없다. 수령 중심의 지배구조를 민족주의에 그대로 투영되었기 때문이다. 다만, 통일 논의에 있어서 민족주의의 강조는 남북한의 동질성을 강조하는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긍정적인 면이 많다. 그러나 남한의 민족주의와는 그 이론적 기반을 달리한다. 반세기가 넘도록 지속되어온...
[학술논문] 1967년 노동당 제4기 15차 전원회의 김정일 연설: 김정일 후계체제의 서막
...‘수령제 정치체제’는 1956년 ‘8월종파사건’을 계기로 조직적, 사상적으로 강화 과정을 거쳐 1960년대 후반에 확고하게 자리를 잡았고, 1970년대에 들어서는 수령의 유일적 영도체제를 기본으로 해서 후계자 김정일의 유일지도체제가 구축되면서 완성됐다고 할 수 있다. 유일지도체제가 구축된 후 김정일은 김일성 생존 시에도 실질적으로 북한의 최고실권자였다. 김정일은 1970년대의 준비 과정을 거쳐 1980년대에 들어서는 북한의 당·정·군을 실질적으로 장악하고 있었으며, 사상 방면에서도 이미 최고지도자로 부각되어 있었다. 1994년 김일성이 갑작스럽게 사망했음에도 최고지도자의 승계과정에 큰 혼란이나 혼선이 없었던 이유이다. 후계체제 구축과 ‘수령’의...
[학술논문] 북한 '수령권력'체제의 생성과 메커니즘
...‘수령권력’체제의 구조와 사상체계, 영도체계, 세습체계의 메커니즘을 살펴보는 것이다. 수령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은 만큼, 수령 김일성이 부정되는 경우 북한체제에 균열이 초래될 수 있다는 점을 문제의식으로 한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절대적 존재로서 수령의 지위는 계승되지 않는다. 이는 김일성의 고유 영역이며, 과거, 현재, 미래를 이어주는 정통성의 기반이 된다. 북한은 이를 유일사상체계라고 한다. 둘째, 수령 개념의 일부분인 영도적 역할만 후계자에 이양된다. 유일적 영도는 양자 지휘권의 통일을 의미하며 세습되는 권력체계로, 김정일․김정은 모두 영도자로서 통치한다. 북한은 이를 영도체계라고 한다. 셋째, 충실성은 후계자만의 고유 영역이다. 이는 후계자 자질의 첫 번째 요건으로 수령 범주에의...
[학술논문] 북한 노동당 제7차 대회와 김정은 당 유일영도체계 확립 전략
...비교해 볼 때 특별히 새로운 것이 없었다. 북한이 예고한 바대로 ‘휘황한 설계도’는 보이지 않았다. 당대회 나흘 내내 김정은 시대의 통치 이데올로기로서 ‘김일성-김정일주의’와 ‘전당과 온 사회의 김일성-김정일주의화’가 시종일관 강조되었다. 김일성-김정일주의화는 김정은 당 유일영도체계 확립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문제는 이러한 김일성-김정일주의화의 강조가 수령절대주의체제를 강화하게 될 때, 이러한 현상이 북한사회의 경직성과 국제질서의 교란을 더욱 부추기게 될 것이라는 점이다. 본 논문은 김일성-김정일주의화와 김정은 당 유일영도체계에 대하여 주목하여 그 내용을 정리 분석함으로써 북한의 정치 현상을 전망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학위논문] "목차 Ⅰ. 서론 1 1. 연구목적 1 2. 선행연구 검토 및 문제제기 4 3. 연구대상과 방법론 7 Ⅱ. 김정일시기의 개관 13 1. 김정일시기의 과제 13 가. 수령의 유일적 영도 체계 : 북한식 근대화 13 나. 과도기로서의 김정일체제 : 부드러운 근대성의 긍정적 수용 17 2. 창작방법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