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渤海 기와 硏究의 推移와 몇 가지 斷想
...시작하였다. 3기(1980~90년대)는 연구가 급증하였으며 북한과 중국, 남한과 러시아의 공동조사 성과가 가시화된 시기이다. 특히 남 북한에서는 와당 분석을 통해발해 기와가 고구려와 통일신라의 영향을 받았음을 밝혔다. 4기(2000년 이후)는 중국의 동북공정이 본격화되면서 여러 나라에서 연구가 촉발되었으며, 조사지역도 연해주까지 넓어지고 기와의 명문 서체, 수막새 문양별 검토 등 연구가 세분화된 점이 특징이다. 선행 연구의 추이를 토대로 주요 논점을 살펴보면, 발해 기와의 종류와 용어 문제, 분류기준의 명확성 제시, 암키와와 암막새의 개념 문제, 발해사 상와당의 변천 과정, 기와의 상징성과 의례성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논점이 단기간에 해결되기는 힘들겠지만, 점진적으로 연구된다면 발해인의 생활상을 복원하는데...
[학술논문] 한강 유역 古代 우물에 대한 試論的 연구 -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
...영향을 직・간접으로 미쳤을 개연성이 있다. 그리고 경제성 면에서는 목조>목조+석조>석조 우물의 순이고, 효용성 면에서는 석조>목조+석조>목조 우물의 순이라고 정리해 볼 수 있다. 우물의 축조목적은 주거생활에서 식수를 얻기 위한 것이 많지만, 농경이나 생산시설에 사용하기 위한 것도 있으며, 제의를 위한 것도 있다. 특히 우물에서 출토되는 복숭아씨를 비롯하여 동물뼈, 수막새, 철기 등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고대 사회에서 제의 행위 때 다양한 유물이 매납되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우물에서는 제의와 관련된 유물이 출토되어 우물을 축조한 집단 구성원이 축조 당시나 물이 말랐을 때, 오염이 되었을 때, 폐기를 할 때 등 직면한 경우에 따라 의례방법과 제물 종류를 달리했던 것으로 이해된다.
[학술논문] 북한 학계의 백제 역사인식
...앞선다는 맹점을 해결하기 위해 장안성의 건설 이후 나성이 착공되었고, 이에 따라 7세기 전반 고구려식의 도성제가 백제에 완성되었다는 논리를 만든다. 고고자료에도 고구려의 선진기술과 제도의 파급이 선명하다는 기조는 이어진다. 토기의 형태적 특징, 기술적 유형, 문양 등에서 확인되는 공통점은 생활풍습, 감정, 정서, 취미가 서로 같았기 때문이고, 백제 초기 수막새에서 고구려의 전형적인 특징이 관찰된다고 한다. 기단식적석총은 고구려보다 2~3분기 정도 후행하도록 설정하였고, 고구려 석실묘의 구조를 감안하여 백제의 석실묘를 편년하면서, 부여 능산리와 서울 가락동의 일부를 4세기로 분류하였다. 또한 고구려 능제의 도입을 부여 능산리 사지의 건설 배경으로 제시하며, 능산리 2호분(중하총)을 성왕이 아닌 백제 시조 구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