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에서의 시조 연구 동향과 과제 -1980년대 이후의 논저를 중심으로-
...준 것이라 하겠다. 본 연구에서 파악한 시조 논저의 동향으로 볼 때 북한 시조연구는 다음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먼저, 북한에서의 시조연구는 우리 학계의 성과에 비하면 일천하며 논의 또한 얕다는 것이다. 한 논문의 분량이나 형식에서도 학문적인 접근 노력이 필요한 것 같다. 그리고 연구주제를 보면 형식과 수사법에 치우쳐 있으며 대상 인물 또한 여러 문학사를 통해 검증된 인물들이다. 형식과 수사법, 언어 사용 등을 논의하면서도 교시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있는데 내용적인 측면이나 주제 및 배경사상을 다루려면 교시에서 제시한 평가를 넘어서는 논의를 해야 하기 때문에 논문의 주제가 형식적인 면으로 편향성을 보이고 있다고 하겠다. 그나마도 2007년 이후로는 시조 논문이 발견되지 않는다. 접근 자료의 한계라고...
[학술논문] 가람의 국학운동과 이태준 - ‘조선어’ 문학의 구상
...시조론은 기존 연구사가 밝히고 있듯이 후스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졌으며 후스의 영향은 이태준의 『문장강화』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들은 실감실정론에 근거하여 후스가 말한 바 '국어의 문학'을 조선에서도 실현하고자 했던 것이다. 가람은 1924년 신미사학을 샀는데, 이는 가람의 조선어 교육뿐만 아니라 시조론에도 영향을 끼쳤다. 시조에 사용된 수사법을 「시조와 그 연구」에서 설명하고 있거니와, 이는 이태준이 『문장강화』에서 간결체와 만연체, 강건체와 우유체, 건조체와 화려체 설명과 함께 현재 국어교육에서 사문화된 상태로 이어지고 있다. 가람과 이태준의 노력은 조선어문학, 조선어글쓰기 체제 구축을 위해 서구와 일본, 중국의 것을 나름대로 전유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그들의 노력은 국학운동의...
[학술논문] 홍석중의 <황진이>에 나타나는 수사학적 특성 연구Ⅱ
...사용하는 용이한 방법인 수사학을 홍석중은 충분히활용한 것이다. 이에 본고는 로고스에 집중하여 홍석중의 <황진이>에 나타나는 수사학적 특성을 분석한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점이 발견된다. 첫째, 홍석중의 <황진이>는 리듬감 있는 단어와 대구법, 대조법을주로 사용한다는 점이다. 소리에 따른 수사법을 사용함은 물론 문장조직에따른 수사법도 사용하고 있다. 이 두 수사법들은 리듬에 의한 설득 방법으로 수렴되고 있다. 둘째, 장엄체 문장과 두괄식 구성의 문단이 주로 사용된다는 점이다. 홍석중은 문장과 문단을 조직함에 있어서 ‘기어코’ 문장부호를 절제하는 등, 의도적으로 길고 복잡한 문장을 쓴다. 물론 이를 두괄식 구성의 문단으로 조직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 즉 장엄체...
[학술논문] 남북한과 중국조선족의 문법 교과서 비교 연구
...체제를 지니고 있음에 비해서 북한과 중국은 단순히 ‘설명-연습’의 구성 체제를 보이고 있어서 차이를 보인다. 남한은 문장 단원을 가장 중요시하고 있으나, 북한과 중국은 단어 단원을 가장 중요시하고 있다. 또한 남한과 북한은 문법 교과서에서 어문 규정을 무척 강조하고 있는데, 중국은 거기서 전혀 다루지 않고 있다. 북한과 중국에서는 수사법을 다루는 ‘문체’를 문법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고, 남한에서는 다루지 않고 있다. 문법 내용적인 면에서 볼 때 조사와 어미를 북한과 중국에서 각각 체언토와 용언토라 하여 ‘토’를 상정하고 있는 것이 주목된다. 교착어인 한국어 특성인 조사와 어미를 함께 다루고 강조하고 있다. 피동과 사동을 나타내는 표현을 남한과...
[학술논문] 〈蛛山九曲〉題材 漢詩에 대한 一考察
...구곡 마다 9개 ‘曲’의 명칭이 다르기 때문에, 9개 ‘曲’의 특징을 묘사한 내용은 개인이 설정한 구곡마다 다르다. 이점이 구곡시의 보편적 특징이다. 유응두는〈蛛山九曲韻〉에 道學的 思惟를 移入하여 시를 지었다. 柳曦永은 그 후손이 광복이전 유인석을 따라 남쪽으로 이주하여 여기 저기 옮겨 살아 자세한 정보를 알기 어렵다. 그가 남긴 원고를 그 증손자 柳在徑이 다행히 문집으로 발간하여 〈蛛山九曲韻編題〉를 보게 됐다. 유희영의 〈蛛山九曲編題〉는 托物寓意 수사법으로 주산구곡의 승경을 적절히 잘 묘사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유응두와 유희영이 蛛山九曲에 대해 지은 시를 통해, 지금 북한지역의 구곡문학의 일면을 이해할 수 있어 그 구곡문학적 의의가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