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안분석] 2020년 북중 무역 평가와 전망: 코로나19가 북한경제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 - 전력과 광업 부문도 생산설비와 원부자재 수입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생산량이 감소하였으나, 경기 둔화로 수요가 감소하여 다른 부문(화학, 금속)에 비해 생산량 감소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지는 않았을 것으로 보임. - 반면 북한은 화학과 금속 부문을 정책적으로 강조하고 있는데, 해당 분야의
수입
감소로 산업생산용 원료(플라스틱이나 합성수지)와 민생용품(의료용 자재, 세제, 접착제, 농업용 자재)의 내수시장 공급이 줄어들면서 연관 부문(경공업)에 대한 악영향이 더욱 커진 것으로 보임. - 경공업은 원부자재 수입이 대폭 줄어들면서 위탁가공(임가공) 수출도 중단되었는데, 이는 이례적인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