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평화, 천황 그리고 한반도: 와다 하루키와 전후 일본 평화주의의 함정
...연구와 전후 일본 평화주의론 사이의 내적 연관을
비판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주된 논점으로 삼는다. 와다는 1950년대 다케우치 요시미(竹内好)와 이시모타 쇼(石母田正)의 영향 아래 식민지 지배와
침략
전쟁에 대한
비판적 자기성찰을 전후 일본 재생을 위한 시금석이라 간주했다. 그리고 이런 관점 속에서 연구자로서의 자기 관점을 확립해나간다. 근대 러시아 사회경제사를 주전공으로 삼아 학계에 자리 잡은 와다는 1970년대 유신정권 하 한국의 민주화 운동에 깊은 관심을 표명하면서 한반도 문제를 논하기 시작한다. 특히 김대중 납치사건과 뒤이은 반독재 투쟁 및 12․12 쿠데타와 5․18 광주 민주항쟁에 이르는 한국의 정세는 와다로 하여금 단순한 운동 차원이 아니라
비판적 연구대상으로서 한반도를 자리매김 하게끔 했다. 이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