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태평양전쟁과 해방기 한국소설
태평양전쟁과 해방기 한국소설
신승희 본 논문에서 필자는 일본이 태평양전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공출, 징용, 징병, 학도지원병 등 식민지 조선에 대한 인적 ‧ 물적 수탈에 주목했다. 그 연장선에서 태평양전쟁기 또는 그 직후, 당사자 또는 남은 자들의 비극적 고통을 담고 있는 소설을 분석했다. 이는 반제국주의, 반전쟁의 의미를 되새기는 계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대상 작품은 최명익의 「맥령」(1946), 계용묵의 「바람은 그냥 불고」(1947), 홍구범의 「창고 근처 사람들」(1949)등 3편이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맥령」은 공출과 징병 문제를 다루고 있다. 과도한 공출은 소작지 망실로 이어진다. 소작농에게 소작지 망실과 복구의 포기는 삶의 수단을 잃어버렸다는 의미이다. 또 징병에 의해 사랑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