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을 역사화하기 — 국가사회주의, 인구이동, 그리고 냉전사학
한반도에서 냉전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그간 사회주의를 연구하는 역사학자들은 국가가 전능한 권력을 행사한다는 냉전 시대의 가정에 문제를 제기해 왔지만, 한국사, 특히 한반도 북쪽의 역사는 트랜스내셔널 반공주의(transnational anti-Communism) 유산의 깊은 영향 하에 머물러 있다. 이 글은 북한을 소련, 중국, 동독 같은 다른 사회주의 국가와 함께 비교사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국가너머의 사회적 구성력(constitutive power)을 북한사 서술에 포함시키는 방법을제안해보고자 한다. 사회적 구성력의 한 사례로 이 글은 인구이동에 주목한다. 일본 제국 해체를 기점으로 시작된 사람들의 이동은 항상 한반도의 두 국가 간 정치적 문제가 되어 왔다. 많은 역사학자가 인구이동 문제에 관심을 가져왔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