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50~1960년대 『조선녀성』을 통해 본 북한 인민의 의복 문화 : 사회주의 이행기 일상생활 변화의 시론적 검토
...생산의 새로운 관습, 여전히 직물과 의복이 풍족하지 않은 상황을 반영하여 절약과 합리적 소비가 강조되고 있는 모습들을 보여준다. 또한 여성 의복의 형태와 디자인에 대한 기사들을 주목해야 한다. 새로운 사회가 중요시하는 가치관이 여성 의복에서 색상으로 표현되었던 양상, 그리고 전통 의복에 대한 강조에도 불구하고 여성들의 의복이 전통의 치마-저고리에서 서구식
양장 스타일로 변화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의복 문화의 변화는 비교사적 접근을 통하여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의복은 냉전기 사회주의 진영 내부의 문화적 분기를 보여주는 소재이다. 소련과 동유럽에서는 1950년대 들어 서유럽의 영향을 받아 패션에 있어 자유로움이 강조되었던 반면, 중국의 경우 의복에 있어서의 계급정책과 실용주의 강조가 정점을 찍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