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 시대 어문 교육의 방향
Recently, there are several prospects for the coming era of unified Korea. This paper is a discussion of the language and literature policy in preparation for the unification Korea. There are three prerequisites for this discussion. First, it should be a policy for the 'reunification Korea' rather than the 'unified Korea'. Second, it should be the policy for 'Ready' rather than
[학술논문] 남북 언어 통합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연구와 정책, 태도 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하였다. 통일에 대한 기대감 상승에 따라 언어적 측면에서의 남북 통합이요구되는 데 따른 것이다. 통합을 위한 언어 연구 중 표준어는 통일 시기에 복수 표준어나 공통어를두고 통일 이후 단일화로 나아가는 방향과, 통합의 비용을 감안하여 남과북의 것 중 한 쪽으로 표준을 정해야 한다는 두 견해로 정리되었으며 어문규범은 <겨레말큰사전>의 공동 편찬 과정에서 논의되고 일정 부분 합의되고있음을 보았다. 또한 남북 학술 교류의 경우 정보처리 분야에서 시작되어정부 기구 간의 교류로 학술회의가 확대되었으나 실질적인 남북 공동 연구에까지 이르지는 못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교육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 대상의교재 개발 연구가 활발하였으며, 남한 내의 북한어 교육은 국어...
[학술논문] 북한의 한문교육과 그 추이
...북한 어문정책은 기본적으로 ‘언어=민족’이라는 언어내셔널리즘을 배후에 둔 한글전용(국문전용)이다. 이를 위해 북한은 한글(국문) 전용의 길에 방해가 되는 표기와 그 사용을 적극 배제하였다. 현재까지 북한의 어문정책은 언어내셔널리즘의 완결체를 보여준다. 국가가 법제로 한글 전용의 완성을 강제하는 것은 근대 국민국가 성립시기에나 있을 법한 발상이다. 이는 어문생활의 사회적 요구와 현재의 어문 환경을 외면한 국수적 언어내셔널리즘의 연장선이기도 하다. 이 점에서 북한의 어문정책은 현실의 어문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언어내셔널리즘의 과잉 표출에 지나지 않는다. 최근 북한의 한문교육은 김정은 정권 등장 이후 축소되어 고급중학교 3학년에서만 배운다. 이는 이전의 양상과 다르다는 점에서 한반도 어문생활에...
[학위논문] 남북한 국어 정책 변천사 연구
...뻗어간다고 하였다.
북한의 국어 정책 변천사를 어문 규정의 변천, 말다듬기 정책의 변천, 문자 정책의 변천, 국어사전 정책의 변천, 국어과 교육의 변천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어문 규정의 변천을 맞춤법 통일안의 준용, 조선어 철자법의 공표, 조선말 규범집의 공표, 문화어 운동의 정착, 조선말 규범집의 수정으로 다시 나누어 살펴보았다. 말다듬기 정책의 변천은 문화어운동과 병행하여 추진된 정책으로 의도적인 정책임을 알 수 있었다. 문자 정책의 변천은 한글 전용을 일관성 있게 추진하였지만 한문 교육은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고 하였다. 국어사전의 편찬 방법과 기술은 상당히 우수하다고 평가하였고 국어과 교육의 변천에서는 국어 교육이 매우 강조되어 있다고 하였다.
...
[학술논문] 어문 민족주의와 미래 한국어의 정체성
어문민족주의는 개화기에 우리 말글에 대한 자주의식과 나라의 자주독립운동에서 본격적으로 촉발되었다. 주시경의 정신을 이은 조선어학회가 어문민족주의 운동의 중심에서 어문규범 정비와 사전 편찬의 대업을 이루었다. 그러나 1930년대에는 실용적 학문에 대한 반발로 언어자료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추구하는 경향도 나타났다. 어문민족주의는 분단 후 남북한에서 체제의 차이로 달리 전개되었다. 북한에서는 한글전용정책과 국어순화운동을 정부가 강제하였다. 남한에서는 정부의 한글전용정책에 대해 민간 일부에서 반발하는 양상이 오래 지속되었으나;국어순화운동은 민관 합동으로 전개되었다. 외국인이 인구의 5%를 차지하고 세계화;다문화 시대가 도래하여 어문민족주의는 다언어·다민족사회에 걸맞게 어문국가주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