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제한핵전 위협과 한미동맹 억제체계: 통합억제 관점의 평가와 발전 방향
본 연구는 북한의 제한핵전 위협이 현실화되는 전략 환경에서 한미동맹의 억제체계를 평가하고, 그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억제이론 중 ‘통합억제’ 개념을 이론적 기반으로 삼고, 제도적 기반과 실행 역량이라는 두 가지 평가 관점을 설정한 뒤, 총 일곱 개의 세부 평가 기준을 도출하여 현행 억제체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미동맹은 제한핵전이라는 복합 위협에 일정 수준 대응할 수 있는 기반과 역량을 갖추고 있으나, 전략·작전·정책의 연계, 핵·재래식 통합 결심, 연합 정보 판단 등 여러 측면에서 제도적·운용적 미비점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연구는 전략 기획·작전의 절차적 일체화를 위한 제도 정비...
[학술논문] AI 기반 위협 예측 및 정보우위 확보를 통한 한반도 핵 억제력 발전방향 연구 - 북핵 위협 및 미국 저위력 핵무기를 중심으로 -
본 논문은 인공지능(AI)과 핵무기 기술이 결합되는 새로운 전략 환경에서, 비핵 국가인 한국이 ‘AI 기반 핵 억제력’을 적극적으로 확보해야 함을 강조한다. 미국, 중국, 러시아 등 주요 강대국들은 이미 AI와 저위력 핵무기를 융합해 기술중심의 억제체계를 발전시키고 있으며, 북한 역시 핵무기의 소형화와 다양한 투발수단 확보로 한반도 안보의 불균형을 심화시키고 있다. 현재 한국은 미국의 핵우산에 의존한 확장억제 전략을 기본 축으로 삼고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재래식 전력 운용과 미사일 방어체계를 발전시켜 왔다. 그러나 기존 전략만으로 시시각각 변화하는 국제관계 및 북한의 핵·미사일 고도화에 적시 대응하는 것에 대해 점차 한계점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한국은...
[학술논문] 한국의 국방개혁 과제 2030
...성공하기 위해 어떤 노력과 방향 전환이 필요한지 검토해보고자 한다. 한국의 안보가 당면한 3가지 도전요인으로 주변국들과의 우주 역량에 대한 격차의 확대, 북한의 기술적 이노베이션, 전작권 전환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위험성 등을 식별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이를 극복하기 위한 7가지 우선 과제들을 제시한다. 1) 다영역 (multi domain) 억제 체계 구축, 2) 기술격차의 극복과 민군 협력, 3) 재원 배분의 우선순위와 전략 목표 간 trade off 극복, 4) 군의 미래 역할과 임무 및 역량 설정, 5) 군의 창의성과 문화 재조형, 6) 보안의 강화와 융합차원의 대응역량 개발, 7) 전략무기 개발과 한국형 상쇄전략 등이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개혁성공을 보장하기 위한 3가지 건의안을 결론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