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핵실험 시 대통령 대응과 여론 : 1차, 6차 핵실험 사례 비교 분석
...초기대응은 약하고 후속대응은 강하였던 것과는 다른 양상이었다. 이처럼 북한의 핵실험 시 지도자의 대응수위가 변화한 데에는 국지적 도발사례와 마찬가지로 여야 정치권과 언론, 그리고 여론의 영향 때문이었다. 특히, 지도자 지지율(재량권)에 따라 여론을 후속대응에 반영하는 양상은 달랐으며 초기 강경대응이 유지되는 기간도 다르게 나타났다. 이처럼 초기 강경대응과 달리 후속대응이 약해진 것은 ‘청중비용 이론’의 반증 사례가 된다. 또, 여야 정치권과 언론이 정치성향에 따라 갈릴 경우 여론도 양극화될 것이라는 ‘엘리트 큐 이론’과는 달리 여야와 언론이 정치성향에 따라 갈리더라도 여론은 양극화되지 않고 다수 여론을 형성해 지도자가 과도하게 강하거나 또는 약하게 대응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학술논문] 북한의 국지적 군사도발 시 대통령 대응과 여론
...대응할 경우 자칫 충돌이나 확전을 우려한 때문이며 초기 대응 이후 여야 정치권과 언론이 정치성향에 관계없이 비판함으로써 주류효과가 작용해 초기대응에 대한 비판여론이 확산하였다. 그에 따라 지도자 지지율이 하락하면서 후속대응은 강해졌다. 이후 남북 간 긴장과 대치가 심화하면서 여야 정치권과 언론이 이념 성향에 따라 ‘강경 대응 유지’와 ‘대화 해결’로 분화하게 되면서 여론도 이념성향에 따라 일부 분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하지만, 엘리트 큐 이론과는 달리 여론의 양극화로까지 이어지지 않고 ‘강경 대응’이 다수 여론이 되면서 지도자는 계속 강경 대응 기조를 이어가게 되었다. 특히, 여야 엘리트가 정치적 목적으로 ‘과도하게’ 강경대응이나...
[학위논문] 북한 도발 시 대통령 대응과 여론
...강하게 대응하였다. 그런데 초기대응이 신중하면 후속대응은 강해졌고 반대로 초기대응이 강하면 후속대응은 유연해졌다. 여론의 영향 때문이었다. 지도자는 초기대응에 대한 여론의 평가와 선호를 고려해 후속대응의 수위와 방법을 선택하였기 때문이다.
초기대응 이후 북한의 반발이나 국제적 대북 압박 등으로 안보위기가 고조되었고 이에 따라 여야 정치권과 언론이 후속대응의 수위를 놓고 ‘강경대응’과 ‘대화해결’로 분화하였는데, 여론도 그에 따라 분화할 것이라는 ‘엘리트 큐 이론’과는 달리 국내 여론은 양극화하지 않았다. 이때 이러한 정치 엘리트와 언론의 분화, 그럼에도 불구하고 크게 분열되지 않는 여론은 지도자의 후속대응 선택에 영향을...
#박병일 #북한 군사도발 #정부 대응 #여야 엘리트 #언론 #여론 #청중비용 이론 #엘리트 큐 이론 #연평도 포격도발 #서부전선 포격도발 #천안함 폭침 #1차 북핵실험 #6차 북핵실험 #북한 미사일 도발 #강경대응 #대화해결 #지도자 지지율 #North Korean Military Provocation #Government Response #Elitism #Media #Public Opinion #Audience Cost Theory #Elite Cue Theory #2010 Yeonpyeong Bombardment #Bombardment of Western Front #ROKS Cheonan Sinking #North Korea’s First Nuclear Test #North Korea's Sixth Nuclear Test #North Korean Missile...
[학술논문] 기억 치유로서의 통일-한국 개신교회 통일담론과 과제
본 연구는 한국교회 통일담론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진보와 보수로 분열된 통일담론의 특성을 분석하여, 교회가 한반도 평화와 통일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담론 형성을 위한 시사점을 모색한다. 1980년대까지는 정부가 통일담론을 주도했지만, 민주화 이후 민간영역에서도 통일논의가 자유로워졌다. 통일담론이 형성되는 영역은 정부 및 여야 정치권, 시민사회, 학계, 종교계를 두루 포함하며, 국내외 정치상황에 따라 계속 그 내용이 달라져왔다. 교회의 통일담론은 진보교회의 견인, 보수교회의 참여, 진보와 보수의 연합, 담론의 분열을 거쳐왔다. 진보교회는 평화를, 보수교회는 통일선교를 강조하는 통일담론을 갖고 있다. 문제는 정부의 통일담론이 깊은 신학적 성찰 없이 한국교회에 투과되어, 특히 북한 인식 영역에서 신앙적...